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5월 수출, 4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반도체 선방에도 미·중 수출 동반 감소 타격

메뉴

경제

5월 수출, 4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반도체 선방에도 미·중 수출 동반 감소 타격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6-01 11:20

반도체는 21%↑…자동차는 '美 -32% 수출절벽'에 4.4% 감소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의 5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3% 감소하며 4개월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미국과 중국이라는 양대 수출 시장에서 모두 두 자릿수에 가까운 수출 감소가 발생한 데다, 미국의 관세 조치가 본격화되면서 수출 전반에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5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72억7000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3% 줄었다. 수입은 503억3000만달러로 5.3% 감소했으며, 무역수지는 69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지난 1월 일시적 적자를 제외하고는 지난해 6월 이후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된 것은 지난 1월 이후 4개월 만이다.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는 15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고, 올해 3~4월 반등세를 보인 바 있다. 그러나 5월에는 미국의 관세 부과,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 관련 품목 가격 하락, 주요 시장 경기 둔화 등이 겹치며 다시 감소세를 나타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 동반 감소다. 미국으로의 수출은 자동차 수출 급감 여파로 100억달러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8.1% 줄었다. '트럼프 관세'로 불리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와 현대차 조지아 신공장 가동 확대에 따른 현지 생산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중국 수출도 반도체·석유화학 부진 여파로 8.4% 감소한 104억달러에 머물렀다.

15대 주력 품목 중에서는 10개 품목 수출이 감소했지만, 반도체 등 5개 품목은 호실적을 보이며 전체 감소폭을 제한했다. 반도체 수출은 138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1.2% 증가하며 역대 5월 기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메모리 제품의 수요가 견조하고, 고정가격 상승이 뒷받침됐다. 이밖에 무선통신기기(3.9%), 컴퓨터(2.3%), 바이오헬스(4.5%), 선박(4.3%) 등도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자동차는 전체 수출액이 62억달러로 4.4% 줄었으며, 특히 미국으로의 수출은 32% 급감했다. 석유제품(-20.9%), 석유화학(-20.8%), 철강(-12.4%) 등 원자재 관련 품목들도 국제가격 하락과 수요 위축의 영향을 받아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이차전지(-18.4%), 디스플레이(-18.0%), 가전(-14.9%) 등 일부 고기술 품목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수출 시장 중 EU(4.0%)와 CIS(34.7%)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수출이 감소했다. EU는 전기차와 반도체 호조로 선방했으며, CIS는 기저효과와 일부 품목 수요 확대 영향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에너지 수입은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원유(-14.0%), 가스(-0.3%) 수입이 감소하며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12.8% 줄어든 102억달러를 기록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양대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의 수출이 동시에 줄며, 미국 관세 조치의 영향이 본격화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반도체와 선박, K-소비재의 선전으로 전체 수출 감소폭은 제한적인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관세 조치와 관련해 미국 정부와 상호호혜적 해결책을 마련하고, 무역보험과 바우처 등을 통해 수출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1.85 ▲28.11
코스닥 796.01 ▲5.65
코스피200 425.41 ▲3.3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41,000 ▼226,000
비트코인캐시 698,000 ▼500
이더리움 3,749,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3,870 ▼150
리플 3,272 ▲3
퀀텀 2,845 ▼3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75,000 ▼303,000
이더리움 3,746,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3,860 ▼130
메탈 969 ▼3
리스크 551 ▼5
리플 3,269 ▲1
에이다 841 ▼8
스팀 1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7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698,000 ▼500
이더리움 3,749,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3,870 ▼130
리플 3,272 ▲2
퀀텀 2,860 0
이오타 23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