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29 (금)

더파워

김제시, 농촌 경제·사회서비스 선도지역으로 ‘우뚝’

메뉴

전국

김제시, 농촌 경제·사회서비스 선도지역으로 ‘우뚝’

이강율 기자

기사입력 : 2025-08-28 22:26

시범계획 수립 지역 선정에 벤치마킹 방문 잇따라… 전국 확산 모델로 주목

▲김제시의 농촌 경제·사회서비스를 배우기 위해 전국 지자체의 벤치마킹이 이어지고 있다.(사진=김제시)
▲김제시의 농촌 경제·사회서비스를 배우기 위해 전국 지자체의 벤치마킹이 이어지고 있다.(사진=김제시)
[더파워 이강율 기자] 김제시가 공동체 기반 농촌 경제·사회서비스 선도 지자체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농촌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제도적 기반과 현장 실천을 동시에 추진하며, 전국 지자체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 시행된 ‘농촌지역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하 ‘농촌경제사회서비스법’)은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침체된 농촌 지역의 경제·사회서비스를 공동체 기반으로 회복하기 위한 법적 장치다.

해당 법은 농촌 지자체에 ▲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 계획 수립 ▲농촌서비스 공동체 육성 ▲사회적 농업 확산 ▲지역지원기관 지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김제시는 법 시행 이전부터 발빠르게 대응했다.

‘생생마을관리소’ 등 찾아가는 사회서비스 사업을 선도적으로 운영하며 농촌 공동체 기반 서비스를 실천해 왔고, 그 중심에는 김제시농어촌종합지원센터(센터장 김석)가 있다.

센터는 ▲노인 건강관리 활동가 양성·파견 ▲마을기술사업단 운영 ▲주민공동학습회 진행 등 현장 중심 맞춤형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전북특별자치도 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가 백구면에 설치돼, 전국 유일의 교육·훈련 기관으로 운영되며 제도적·실천적 허브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다른 지자체의 벤치마킹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북 10개 시·군 코디네이터들이 생생마을관리소 운영 사례를 학습했으며, 춘천시의회와 관련 기관으로 구성된 ‘춘천 ESG 실천 연구회’도 20일 김제를 찾아 농촌경제사회서비스법 대응 사례를 탐방했다.

9월에는 정읍시에서도 견학이 예정돼 있다.

김제시는 또한 농촌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계획 시범 수립 지역으로 선정돼 법적 기반에 따른 계획 수립을 진행 중이다.

해당 계획은 향후 ▲농촌 서비스 공동체 육성 ▲부처 연계 사업 발굴 ▲지역 통합돌봄 연계 강화의 구체적 기반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시는 특히 보건복지부 ‘통합돌봄지원법’과의 연계성을 강화해 경제·사회서비스와 건강·돌봄 분야를 통합 조율하는 전국적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기수 김제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서비스가 주민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높이도록 중간지원조직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주민 중심 서비스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강율 더파워 기자 kangyulee@gmail.com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32 ▲9.16
코스닥 798.43 ▼3.29
코스피200 431.81 ▲1.5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473,000 ▲61,000
비트코인캐시 776,500 ▲3,000
이더리움 6,309,000 ▼33,000
이더리움클래식 30,290 ▼130
리플 4,175 ▼21
퀀텀 3,976 ▼2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510,000 ▲28,000
이더리움 6,313,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30,290 ▼90
메탈 1,039 ▼8
리스크 547 ▼4
리플 4,175 ▼19
에이다 1,203 ▼10
스팀 18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57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777,500 ▲2,500
이더리움 6,305,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30,220 ▼140
리플 4,175 ▼21
퀀텀 3,970 ▼28
이오타 27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