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0.23 (목)

더파워

“나를 위한 소비” 나서는 시니어…AI·건강앱에도 관심 급증

메뉴

이슈포커스

“나를 위한 소비” 나서는 시니어…AI·건강앱에도 관심 급증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0-22 10:41

“나를 위한 소비” 나서는 시니어…AI·건강앱에도 관심 급증
[더파워 유연수 기자] 50~70대 시니어층이 신체보다 마음의 나이를 더 젊게 인식하며 ‘나를 위한 소비’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여행·외식·문화 등 경험 중심의 소비가 확대되고, 건강관리·AI 앱 설치율도 크게 늘고 있다.

오픈서베이가 지난 9월 15일부터 17일까지 전국 50~79세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니어 소비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시니어들은 본인의 실제 나이보다 신체 나이는 평균 3~7세, 마음 나이는 11~12세 더 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이 높을수록 신체 나이를 더 낮게 평가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나를 위한 소비” 나서는 시니어…AI·건강앱에도 관심 급증

행복의 기준 역시 가족·관계 중심에서 경제력과 개인적 성취로 이동했다. ‘행복의 핵심 요소’로 경제력을 꼽은 비율은 전년보다 증가했으며,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필수 조건으로 꼽혔다. 반면 ‘가정’이나 ‘인간관계’ 등 관계적 요인은 전년 대비 중요도가 낮아졌다. 대신 ‘직업·커리어 성취’, ‘자기계발·여가활동’ 등 개인의 만족과 성장에 대한 비중이 커졌다.

소비 행태에서는 ‘본인을 위한 소비’가 뚜렷해졌다. 월평균 가구소득 700만원 이상 고소득 시니어의 여행·외식·문화·여가 지출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반적으로 경험형 소비 항목의 지출이 늘었다. 소득이 높을수록 새로운 문화와 유행을 적극 수용하고 취미·사회활동 참여율과 삶의 만족도가 높은 반면, 소득이 낮을수록 문화 수용도와 만족도가 낮았다.

“나를 위한 소비” 나서는 시니어…AI·건강앱에도 관심 급증

생활서비스 이용에서는 금융·병원예약·교통 등 필수영역에서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는 비율이 80% 이상으로 높았으나, OTT·배달·여행 예약 등 문화·여가 영역에서는 외부 의존도가 커졌다. 특히 온라인쇼핑 자기주도권은 50대 91%, 60대 80%, 70대 75.6%로 연령이 높을수록 크게 감소했다.

구매 의사결정에서도 연령이 높을수록 자녀의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50~60대는 배우자의 의견을 중요시했지만, 70대 이상에서는 자녀의 영향력이 모든 제품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료품 등 생필품은 직접 구매 비율이 높았으나, 가전처럼 고가 제품은 탐색은 본인이 하더라도 결제는 타인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았다.

“나를 위한 소비” 나서는 시니어…AI·건강앱에도 관심 급증


정보 습득 경로로는 유튜브와 포털 검색이 가장 많이 활용됐다. 50대는 유튜브와 검색 중심으로 트렌드를 파악하는 반면, 70대는 단체 채팅방이나 종교모임을 통한 정보 획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신기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1년 내 새로 설치한 앱으로는 ‘삼성헬스’, ‘만보기·걷기앱’, ‘손목닥터9988’ 등 건강관리 앱이 다수를 차지했고, ‘챗GPT’, ‘제미나이’, ‘뤼튼’ 등 AI 관련 앱 설치도 활발했다. 응답자의 67.7%는 AI 기술을 경험해봤다고 답했으며, 주로 음성비서나 텍스트 질의 기능을 활용했다. 다만 실제 사용은 제한적이었고, 개인정보 유출과 보안 문제를 주요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업계 관계자는 “2025년의 시니어는 단순히 연령이 아닌 마음의 젊음을 기준으로 새로운 경험과 기술에 투자하는 세대로 변화하고 있다”며 “이제 시니어 시장은 케어 중심에서 ‘자기 만족형 소비’ 시장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83.68 ▲59.84
코스닥 879.15 ▲6.65
코스피200 542.59 ▲7.31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270,000 ▲122,000
비트코인캐시 710,000 ▲500
이더리움 5,783,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3,320 ▼80
리플 3,607 ▼3
퀀텀 2,929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242,000 ▼45,000
이더리움 5,779,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3,370 ▼110
메탈 758 ▼7
리스크 323 0
리플 3,609 ▼2
에이다 955 ▼2
스팀 13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20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710,000 ▲1,000
이더리움 5,78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3,350 ▼80
리플 3,605 0
퀀텀 2,941 0
이오타 21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