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19 10:41
[더파워 이경호 기자]여성스타트업 포럼은 여성 창업 생태계의 발전과 전국 단위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19일 부산 기술보증기금 본사에서 ‘여성스타트업의 미래-여기, 지금’이라는 주제로 정책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실패박람회의 하나로 개최되며 기술보증기금, 대성창업투자, 임팩트스퀘어가 디딤돌 협력기관으로 참여한다.이번 포럼에서는 여성 창업 정책과 지원 현황을 조명하고, 여성 기업가의 사회 참여를 위한 도전의 필요성과 성장을 위한 지원 필요성에 대해 숙의해 여성 스타트업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도출할 전망이다.특히 이번 행사는 민간 전문가뿐 아니라, 중앙부처, 지자체, 학계와2022.09.16 14:54
[더파워 이경호 기자]SK하이닉스는 경제적 가치(EV)와 사회적 가치(SV)를 동시에 중시하는 균형 잡힌 가치체계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추구한다. DBL 경영 철학은 모든 이해관계자와 함께 성장하고자 노력하는 SK의 핵심 경영 이념이다. 기업은 혼자 성장할 수 없으며, 수많은 이해관계자의 신뢰와 지지가 필수적이다. 과거 경영 이익만을 중시하던 시대에는 주주와 고객만이 중요했지만, 점차 사회의 연결성이 확대되면서 이해관계자의 범위도 확장됐다. 이해관계자들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SK하이닉스는 ‘경제간접 기여성과’, ‘환경성과’, ‘사회성과’, ‘거버넌스’로 분류해 사회2022.09.16 14:14
[더파워 이경호 기자]우리나라는 전형적인 포지티브 규제 환경을 가지고 있다. 허용되는 사항을 밝히고 이에 포함되지 않은 사항은 모두 불허하는 포지티브 규제 환경하에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아 규제 허용 범위에 포함될 수 없는 혁신 비즈니스는 도입 단계부터 규제 이슈 발생이 불가피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 정부는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전환 등 '선 허용-후 규제' 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하는 규제 환경의 패러다임 전환을 추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덩어리 규제’와 ‘기존 법령의 유추해석을 통한 확대적용’ 등 혁신 비즈니스 도입을 막는 규제 이슈들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다.‘공유숙박’은 복잡한 덩어리 규제로 인2022.09.15 16:20
[더파워 이경호 기자]산업현장에서 휴대폰 사용 금지가 인권을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는 정부 기관의 조사결과가 나온 가운데,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산업현장에서 휴대폰 사용이 부상이나 죽음을 야기한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면서 사고 예방 차원의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가인권위원회는 최근 차별시정위원회를 열고 “물류센터 내 휴대폰 반입이 차별이라는 진정을 각하한다”고 결정했다. 앞서 지난해 9월 쿠팡 물류센터 노조가 “물류센터 내 휴대전화 반입 금지 정책은 노동자 인권과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훼손한다”고 인권위에 진정을 냈는데, 인권위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다. 인권2022.09.15 15:53
[더파워 이경호 기자]동아에스티는 지난 14일 오후 미국 뉴로보 파마슈티컬스와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및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동아에스티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과 나스닥 상장사로서 자금 조달이 용이한 뉴로보의 장점을 토대로 DA-1241과 DA-1726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를 가속화하고, 지분 취득을 통해 뉴로보를 동아쏘시오그룹의 글로벌 R&D 전진기지로 활용할 계획이다.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2형 당뇨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 DA-1241과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 DA-1726의 전세계 독점 개발권 및 한국을 제외한 전세계 독점 판매권을 뉴로보에 이전한다. 또한 계2022.09.15 15:38
[더파워 이경호 기자]LG유플러스가 플랫폼 사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유플러스 3.0(U+3.0)'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LG유플러스는 15일 오전 서울 중구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사업 전반의 중장기 성장전략을 공개했다. LG유플러스 최고경영자(CEO)인 황현식 사장은 이날 서울 중구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중장기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황 사장은 '라이프스타일', '놀이', '성장 케어' 등 3대 신사업과 웹 3.0으로 대표되는 미래 기술을 '4대 플랫폼'으로 규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과의 디지털 접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황 사장은 "과거 (현 LG유플러스2022.09.15 15:27
[더파워=유연수 기자]인플루언서 커머스 및 브랜드 애그리게이터 뷰티셀렉션이 하반기 전직군 대규모 채용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뷰티셀렉션은 총 8개의 뷰티, 건강기능식품, 패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맥킨지 출신의 CFO 영입을 시작으로 최근 아모레퍼시픽 글로벌 출신의 CBO까지 영입했다. 그 외 커머스, IT, 컨설팅펌 등 다양한 국내·외 선도사 출신 리드를 영입해 조직의 내실을 다졌다.기업 성과로는 2021년 약 300억원의 매출 중 30%에 육박하는 영업이익률을 달성하며 커머스사로는 이례적인 흑자 수치를 달성했다. 추가로 8월 ‘유니콘 제조기’ 알토스벤처스를 비롯한 국내·외 투자사로부터 130억원의 시리즈 A2022.09.15 15:23
[더파워=유연수 기자]비영리 임팩트투자사이자 액셀러레이터인 한국사회투자는 넷제로 전문 기관인 비엔지파트너스와 함께 넷제로 테크 스타트업 투자를 위한 ESG 펀드 조성을 본격화한다고 15일 밝혔다. 양 기관은 앞서 6월 ‘넷제로 테크 스타트업 육성, 투자 및 ESG 생태계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맺은 뒤 지난 8일 ‘넷제로테크 임팩트 개인투자조합’에 대한 결성 총회를 개최했다.넷제로테크 임팩트 개인투자조합은 한국사회투자가 업무집행조합원(GP)을 맡았으며 넷제로 첨단 테크 기업 투자에 관심이 많은 ESG, 넷제로 전문가와 법인 투자자 등이 일반조합원(LP)으로 참여했다. 조합 공동운영위원장은 이종익 한국사회투자 대표, 임대2022.09.15 14:47
[더파워 이경호 기자]120만 팬덤을 보유한 ‘벨리곰’이 중동과 유럽에 이어 미국에 상륙한다. 롯데홈쇼핑은 오는 20일과 21일 양일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관광명소 ‘피어17’에 15m 크기의 초대형 ‘벨리곰’을 전시하는 ‘어메이징 벨리곰’ 행사를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롯데홈쇼핑이 자체 개발한 ‘벨리곰’은 120만명의 SNS 팬덤을 보유한 인기 캐릭터로, 콘텐츠 누적 조회수 3억뷰를 돌파했다. 지난 4월 325만명 이상이 방문한 잠실 롯데월드타워 공공전시로 국내 초대형 캐릭터 전시 붐을 일으킨 이후 국내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전시, 팝업 스토어 등을 진행해 왔다. 현재 ‘벨리곰’ 공식 유튜브 해외 시청자 비율은 약 40%이며2022.09.15 14:03
[더파워 이경호 기자]삼성전자가 혁신 기술을 통해 기후 극복에 동참하고 탄소중립 달성을 추진한다. 오는 2030년까지 환경경영 과제에 7조원 이상을 투입해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초저전력 반도체와 전력이 덜 드는 전자제품을 개발하고, 글로벌 RE100 이니셔티브에도 가입해 사용 전력의 100%를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로 했다.삼성전자는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신(新) 환경경영전략'을 발표하고, 경영의 패러다임을 '친환경 경영'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반도체부터 스마트폰, TV, 가전까지 전자산업의 전 영역에서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삼성전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전력(2021년 기준 25.8TWh)을 사2022.09.14 16:07
[더파워 이경호 기자]매일유업은 오는 27일 오후 2시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라이브방송을 통해 앱솔루트 온라인 맘스쿨 ‘월령별 훈육법’을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앱솔루트 온라인 맘스쿨 ‘월령별 훈육법’에서는 훈육이 필요하다는 점은 알고 있지만 실제 훈육은 어려워하는 양육자들을 위해 훈육의 개념과 시기별 올바른 훈육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강사로는 백석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이자 매일아이닷컴에서 전문가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변영신 교수가 나선다. 라이브 방송은 인스타그램 앱솔루트 계정과 매일유업 유튜브 채널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매일유업 관계자는 “올바른 훈육은 아이의 건강과 행복은 물론, 양육자의 건강과2022.09.14 16:03
[더파워=유연수 기자]문재인 정부는 출범 당시 규제개혁 추진 목표를 ‘민생과 혁신을 위한 규제 재설계’로 설정하며 정부의 규제개혁 추진방향을 밝힌 바 있다. 이후 정부는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전환, 규제혁신 로드맵 구축 등을 기반으로 ‘신산업·신기술 분야 규제혁파’라는 추진 전략을 수립했고, 다양한 규제혁신제도를 발표했다. 주요 규제혁신제도로는 입법방식 유연화, 정부 입증책임제, 한걸음 모델, 규제샌드박스 등이 새롭게 추진됐다. 이어 2021년 2월, 한국형 규제혁신 플랫폼 안착이라는 핵심 추진 전략을 수립했고, 9월에는 그간의 규제혁신 활동을 통해 이룬 8,600여건 이상의 규제 개선 성과를 발표했다.이처럼 상당한 규제|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853.26 | ▼151.59 |
| 코스닥 | 863.95 | ▼27.99 |
| 코스피200 | 540.36 | ▼23.84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7,108,000 | ▲249,000 |
| 비트코인캐시 | 799,500 | ▲5,000 |
| 이더리움 | 4,152,000 | ▲23,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300 | ▲180 |
| 리플 | 2,934 | ▲28 |
| 퀀텀 | 2,294 | ▲26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7,200,000 | ▲415,000 |
| 이더리움 | 4,154,000 | ▲23,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320 | ▲200 |
| 메탈 | 595 | ▲3 |
| 리스크 | 264 | ▲3 |
| 리플 | 2,934 | ▲26 |
| 에이다 | 611 | ▲2 |
| 스팀 | 108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7,120,000 | ▲290,000 |
| 비트코인캐시 | 801,000 | ▲6,500 |
| 이더리움 | 4,154,000 | ▲2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290 | ▲160 |
| 리플 | 2,934 | ▲28 |
| 퀀텀 | 2,275 | 0 |
| 이오타 | 17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