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20 (수)

더파워

냉면·삼계탕 값 또 올랐다…치솟는 외식 물가에 '화들짝'

메뉴

경제

냉면·삼계탕 값 또 올랐다…치솟는 외식 물가에 '화들짝'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8-20 09:19

@픽사베이
@픽사베이
[더파워 최병수 기자] 서울에서 소비자가 즐겨 찾는 외식 메뉴 가운데 냉면과 삼계탕 등 5개 품목의 가격이 지난달에도 오름세를 이어가며 서민들의 체감 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20일 기준 서울 지역 냉면 한 그릇 평균 가격은 지난 6월 1만2269원에서 7월 1만2423원으로 154원 인상됐다. 삼계탕도 같은 기간 1만7654원에서 1만7923원으로 269원 올랐다.

냉면 가격은 2022년 4월 1만원, 2023년 6월 1만1000원을 기록한 뒤 지난해 12월 1만2000원을 넘어섰다. 삼계탕 역시 2017년 6월 1만4000원, 2022년 7월 1만5000원, 지난해 7월 1만7000원대를 돌파하는 등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왔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이는 서울 지역 평균 가격으로, 유명 식당의 판매가는 이보다 더 높다. 을밀대·우래옥·봉피양·평가옥은 냉면 한 그릇을 1만6000원에, 을지면옥·필동면옥은 1만5000원에 판매한다. 일부 평양냉면 전문점은 가격을 1만7000원~1만8000원으로 책정했다. 삼계탕 전문점인 토속촌·고려삼계탕·논현삼계탕은 ‘기본 삼계탕’을 2만원에 내놓고 있으며, 고명이나 재료가 추가되면 가격은 더 오른다.

다른 외식 품목도 올랐다. 삼겹살 1인분(200g)은 6월 2만447원에서 7월 2만639원으로 192원 인상됐고, 비빔밥은 1만1462원에서 1만1538원으로 76원, 김치찌개백반은 8500원에서 8577원으로 77원 각각 올랐다. 반면 김밥(3623원), 자장면(7500원), 칼국수(9692원)는 전달과 같은 가격을 유지했다.

외식뿐 아니라 개인 서비스 요금도 소폭 상승했다. 서울 지역 이발소 요금은 전달과 같은 1만2538원이었지만, 목욕 요금은 1만769원으로 77원 인상됐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04.74 ▼46.82
코스닥 771.22 ▼16.74
코스피200 420.49 ▼5.6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72,000 ▲374,000
비트코인캐시 773,500 ▼1,000
이더리움 5,843,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9,130 ▲30
리플 4,061 ▲8
퀀텀 2,806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49,000 ▲347,000
이더리움 5,860,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9,190 ▲50
메탈 1,000 ▲4
리스크 536 ▲2
리플 4,064 ▲7
에이다 1,199 ▲2
스팀 17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60,000 ▲360,000
비트코인캐시 774,000 ▼1,000
이더리움 5,845,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9,190 ▲20
리플 4,063 ▲7
퀀텀 2,775 0
이오타 274 ▲3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