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한수원 방사선보건원에서 열린 ‘고리 1호기 비관리구역 내부·야드 설비 해체공사’ 계약 체결식에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HJ중공업 정철상 전무, 한수원 조석진 기술부사장, 두산에너빌리티 김종두 사장, 한전KPS 전호광 부사장
[더파워 유연수 기자]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수력원자력과 ‘고리 1호기 비관리구역 내부·야드 설비 해체 공사’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첫 상업용 원전 해체 공사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6월 정부의 고리 1호기 해체 최종 계획 승인 이후 진행되는 첫 번째 해체 공사로, 국내 원전 해체의 본격적인 시작을 의미한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가동을 시작한 국내 최초 상업용 원전으로, 2017년 영구 정지된 뒤 8년 만에 해체 단계에 들어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사업의 컨소시엄 주관사로 HJ중공업, 한전KPS와 함께 2028년까지 비관리구역 내 터빈, 배관 등 2차 계통 설비를 순차적으로 해체한다. 해당 구역은 방사선 노출이 없는 구역으로, 해체 공정 전반의 안전성과 기술 신뢰도를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원전 해체의 첫 단계를 맡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해체 공사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수주를 통해 두산에너빌리티는 향후 성장할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서도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영구 정지된 원전은 현재 214기에서 2050년까지 588기로 늘어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