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이지웅 기자]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하면 식당 내 취식을 금지하고 포장·배달만 허용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외식업계가 반발에 나섰다.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서는 식당은 오후 9시까지 홀 영업이 가능하고 그 이후에는 포장·배달만 허용된다.
한국외식업중앙회는 18일 "기존 3단계 지침대로라면 식당은 오후 9시 이전까지는 시설 면적 8㎡당 고객 1명이라는 조건에서 일반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며, "일상 속 전파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로 3단계 상향 시 음식점 취식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논리는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외식업계는 서울시가 지난달 23일 발표한 '서울시 집단감염 발생 클러스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식당·카페는 6%(143명) 정도로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례가 드물다고 주장했다.
또, 배달만 가능하도록 한다면 매출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외식업중앙회는 "전체 외식업에서 한식업 비중은 44.23%에 해당하는 31만 3,562개로 이중 일반음식점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0.14%다. 80% 이상은 영세한 외식업에 속한다"며, "3단계 격상에 따른 조치로 전면 영업을 중단시키고 배달만 가능하도록 한다면 최악의 매출감소로 이어질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식업의 경우 방문외식의 의존도가 높고 배달(5.7%)이나 포장외식(11.4%) 비중이 많지 않기 때문에 매장영업이 전면 중단된다면 배달로 전환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일반음식점업의 피해는 극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재택근무가 어려운 직장인들의 점심 대란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외식업중앙회는 "또 한 가지 우려되는 사항은 사회생활을 하는 직장인의 점심 대란"이라며, "배달과 편의점이 일정 부분 감당하겠지만 대다수 직장인은 점심 해결이 곤란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영업 제한을 당하면서도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기만을 바라며 정부 방역 대책을 묵묵히 따라온 외식업자에게 3단계 격상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또다시 강요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3차 재난지원금의 소상공인 우선 지급, 소상공인 긴급대출 확대, 임대료 직접 지원, 금융기관의 소상공인 대출 이자 징수 중단 등 강도 높은 지원을 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