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정면으로 맞서라"... 공직사회에 비상한 각오 주문
"혁신에 속도 더 내달라... 포용성 강화해 불평등 해소해야"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영상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조성복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일 코로나19 장기화와 관련해 "지금까지 고생이 많았지만 보다 도전적이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자세로 위기를 돌파해 나가야 한다"고 공직자들에게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정부가 비상한 각오와 결의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해가고 있지만, 위기는 끝나지 않았고 넘어야 할 산과 건너야 할 계곡이 많다"며 이같이 밝혔다.
길어지는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임기 후반기 국정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직 기강을 잡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우선 과감히 도전해 주기를 바란다. 두려워하는 자에게 승리는 주어지지 않는다"며 "위기에 정면으로 맞서 대응할 때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고 더 큰 기회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의 수출 규제에 당당히 맞서 소재·부품·장비산업 자립화의 계기로 삼았고, 오히려 전화위복의 기회를 만들어낸 바 있다"며 "마찬가지로 코로나 위기에도 '위기에 강한 나라, 대한민국'을 재발견하는 계기가 됐고 위기극복 모범국가로 세계의 찬사를 받게 됐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혁신적인 자세를 가져 달라. 올해 가장 중요한 목표인 회복은 단순히 과거로의 복귀가 아닌 미래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것"이라며 "비대면 경제와 디지털 혁신,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은 그것 자체로 생존의 문제가 됐으며 회복을 위한 필수적 요소가 됐다. 혁신에 속도를 더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포용 없이 회복과 도약을 이룰 수 없다"며 "각 부처는 포용이 회복과 도약의 토대임을 분명히 하고 불평등과 격차 해소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고용위기 극복은 물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어려움을 덜어드리는 것 또한 피할 수 없는 과제"라며 "한국판 뉴딜, 탄소중립 등 대전환에서 소외되는 계층, 지역, 사회가 없게 포용적 전환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부처의 정책에서 포용성 강화 방향을 명확히 해 국민의 삶을 책임지는 역할을 다해달라"며 "포용성 강화에서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점검하는 체계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