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발언 관련 20·30대들의 분노 이해...코로나 사태 위기 극복시 금융위 기여 임기 내 가장 큰 업적
30일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자리에서 물러나며 과거 가상자산 투자를 '잘못된 길'로 표현한 것에 대해 작심 발언한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조성복 기자] 임기종료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과거 가상자산(가상화폐) 투자 열기 당시 이를 ‘잘못된 길’로 표현한 것에 대해 “마음먹고 한 예기였다”며 뜻을 굽히지 않았다.
30일 은 위원장은 이임식 이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가상자상 시장 과열에 대해 누군가 언젠가는 답해야 하는데 때 마침 국회 정무위에서 이에 대한 질문이 나와 대답했다”면서 “다만 미리 답변 내용을 준비했으나 발언 도중 약간 흥분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답변 과정에서 ‘잘못된 길’과 ‘어른이 얘기해야 한다’는 부분은 서로 떨어져 있었는데 이를 합쳐 발언한 것으로 전해져 (논란이)더 커졌다”고 설명했다.
은 위원장은 지난 4월 정무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가상자산 투자 열기에 대해 “(젊은이들이) 잘못된 길로 가면 어른들이 얘기해 줘야 한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어났다.
또 이때 은 위원장은 “많은 사람이 (가상자산)투자를 한다고 해서 관심을 갖고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하루에 20%씩 급등하는 자산을 보호해줘야 한다는 것 자체가 투자를 부추길 수 있다”며 비판적인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은 위원장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국민청원이 제기됐고 20만명 이상이 찬성했다.
이에 대해 은 위원장은 “국민청원 제기가 개인적으로 유쾌한 일은 아니었지만 20·30대들의 분노는 이해한다”며 소감을 전했다.
은 위원장은 임기 동안 금융위원회가 코로나 사태 위기 극복에 기여한 점을 가장 큰 성과로 꼽았다.
이날 은 위원장은 이임사를 통해 “전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에서 ‘175조원 플러스 알파’의 역대급 규모의 금융안정대책으로 시장 불안을 조기에 잠재웠다”며 “신속·과감한 정책대응으로 자영업자·중소기업은 유동성 고비를 넘길 수 있었고 기간산업 연쇄도산, 대규모 고용불안 등을 막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