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유연수 기자]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금리가 3개월 새 0.45%포인트 가량 올랐다. 이 상승폭은 대출금리의 기준(지표)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의 오름세와 비교해 3.5배나 된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누르기 위해 금융당국이 대출규제를 강화하자 금리 상승폭도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3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2.80∼4.30% 수준이다. 이는 약 3개월 전 5월 말(2.35∼3.88%)과 비교해 하단과 상단이 각 0.45%포인트, 0.42%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신규 코픽스가 아닌 신(新)잔액 코픽스를 따르는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도 같은 기간 2.284∼4.01%에서 2.673∼4.38%로 상승했다. 최저, 최고금리가 각 0.389%포인트, 0.37%포인트 오른 셈이다.
신용대출의 경우 3일 현재 3.00∼4.05% 금리(1등급·1년)가 적용된다. 5월 말(2.564∼3.62%)보다 상·하단이 모두 0.43%포인트 정도 뛰었다.
반면 같은 기간 신규 코픽스는 0.13%포인트 올랐고, 신잔액 코픽스는 변화가 없었다. 시중은행 주담대 변동금리 오름 폭이 지표금리 상승 폭의 3.5배에 달하는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경우 지표금리로 주로 코픽스를 활용한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대출에 쓰일 자금을 조달하는데 얼마나 많은 비용(금리)을 들였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 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신용대출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신용대출 금리는 주로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로 삼는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5월말 0.935%에서 이달 3일 현재 1.250%포인트로 약 3개월 새 0.315%포인트 높아졌다.
이 기간 실제 4대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 인상 폭은 0.43%로, 지표금리보다 0.1%포인트 이상 대출금리가 더 올랐다.
이런 현상은 최근 은행들이 지표(기준) 금리에 자체 판단으로 더하는 가산금리를 더 올리거나 거래실적 등을 반영해 깎아주는 우대금리를 줄인 데 따른 것이다.
부동산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 등을 우려하는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조이라'고 강하게 압박하는만큼, 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가산금리 인상, 우대금리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게 은행들의 입장이다.
더구나 고승범 신임 금융위원장이 취임 전부터 ‘더 강한 가계대출 규제’를 예고한만큼 은행의 이런 금리 인상 속도는 갈수록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신한은행은 6일부터 전세자금 대출 금리를 0.2%포인트 더 높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