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유연수 기자] 금융감독원이 29일부터 매주 ‘대내외 리스크 상황점검 태스크포스(TF)’회의를 열고 금융시장과 금융권의 외화유동성 상황을 집중 점검키로 했다. 미국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개시와 조기 금리인상, 중국발 부동산 부실 우려 등 글로벌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28일 열린 임원회의에서 “미국에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과 기준금리 인상 논의가 본격화하고, 헝다 그룹 사태 등에 따라 중국 부동산 부문의 부실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며 이런 리스크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에서도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상존하는 등 대내외 리스크 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리스크 요인이)외환,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 시장에서까지 전반적인 변동성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며 “상호연계성과 상승작용으로 인해 파급력이 증폭하는 ‘퍼펙트 스톰’(초대형 복합위기)이 생길 수 있어 리스크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중국의 대형 부동산 개발 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350조원대에 달하는 부채를 짊어진 채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놓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충격 여파가 국내외 증시로 이어지고 있다.
또 지난 22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통해 조만간 테이퍼링을 시작할 수 있다고 밝히고, 금리 인상 시기도 이르면 내년으로 빨라질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같이 국내외 리스크가 가시화되자 금감원은 29일부터 매주 대내외 리스크 상황점검TF회의를 열기로 했다. 필요하다면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등 범정부부처와 협조해 리스크 대응을 모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