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금리인상 여파로 부동산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가 역대 최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정비사업 수혜가 기대되는 서울 빌라 매매는 21개월째 아파트 매매 건수를 크게 웃돌고 있다.
1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현재까지 신고된 건수 기준 지난 8월 아파트 매매 건수는 54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643건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역대 최소를 기록한 데 이어 또다시 최소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신고 기한(계약 후 30일 이내)이 남아있지만 국내 기준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의 침체국면이 지속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남은 기간에 100건이 넘는 매매량이 추가 신고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달 들어서도 현재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73건에 그쳤다. 반면 서울 빌라 매매 건수는 작년 1월부터 아파트 매매 건수를 추월했다. 지난달과 이달에도 빌라 매매는 이날까지 신고된 건수를 기준으로 각각 1882건, 243건이 등록돼 아파트 매매 건수의 세 배를 웃돌고 있다.
통상 빌라는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아 환금성이 떨어지고, 가격도 잘 오르지 않는다는 인식 탓에 그간 주택 수요자들이 대체로 빌라보다는 아파트를 선호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강도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압력, 올해부터 본격화된 경기 침체 우려 등이 겹치면서 아파트 매매가 극도로 부진한 상황이다.
빌라 매매 또한 금리 인상과 경기 부진 여파로 지난 4월(3천897건) 이후 감소세지만, 21개월째 아파트 매매량을 웃돌고 있다.
빌라가 전체 매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 통계(신고일 기준)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의 전체 주택(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아파트) 매매 4858건 가운데 빌라(다세대·연립주택)가 3206건으로 전체의 66.0%를 차지했다.
서울 지역 주택 매매 가운데 빌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12월(62.8%)에 처음으로 60%를 돌파한 이후 올해 4월까지 5개월 연속(63.4%→60.2%→64.8%→62.2%) 60%를 웃돌았다. 5월과 6월(각 58.4%)에는 50%대로 낮아졌으나 7월(66.0%)에는 다시 60%대로 올라서며 월별 역대 최고치 기록을 다시 썼다.
반면 서울에서 아파트 매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7월 21.2%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지난 7월 강서구(83.4%), 양천구(81.3%), 강북구(80.3%)에서는 전체 주택 매매 10채 가운데 8채 이상이 빌라인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