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가 오는 20일부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취급 대상을 연립·다세대 주택까지 확대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 스타 등으로 계좌 커버를 꾸밀 수 있는 '최애 적금'도 선보이고, 올해 안에 동남아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최애적금'을 출시하고 주택담보대출 커버리지를 확대하며 '넘버 원 금융+생활 필수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거듭나겠고 밝혔다. 인공지능(AI) 고도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구축 등 기술 혁신을 강조하며 연내 해외 진출도 가시화한다.
카카오뱅크는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에서 '2023 카카오뱅크 프레스톡'을 열고 지난해 성과와 2023년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윤 대표는 이 자리에서 "고객 편의를 위해 여신(대출) 상품의 커버리지(취급 대상)를 확대하는데, 주담대도 아파트에서 연립과 다세대 주택으로 대상을 넓힐 것"이라며 "금리 인상기에 주택 시장이 위축되는 가운데 다양한 서비스로 편의를 늘리고 커버리지도 확대해 올해 10%대 중반의 여신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플랫폼 파워와 비즈니스 역량 강화를 위해 고객 편의성과 금융 상품 재해석에 집중한다. 청소년 고객 인기 상품으로 자리잡은 '카카오뱅크 미니' 등 금융 수요를 충족해 고객 외연을 확대하고 여신상품 커버리지를 확대한다. △다양한 파트너사와 제휴한 신규 적금 상품 출시 △주택담보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확대 △보증서 대출 상품 출시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 계획도 밝혔다.
또한 연립·다세대 주택의 정확한 시세와 담보가치 평가를 위해 '부동산 가치 자동 산정 시스템(AVM)'을 갖추고 개방형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주소 정보, 주택 용도 등을 수집·검증할 방침이다.
대출금리는 혼합금리 기준 최대 연 3.53%(17일 기준) 수준으로, 중도상환 해약금은 100% 면제된다. 대출 만기는 최소 15년에서 45년(청년 기준)까지 선택할 수 있고, 대출한도는 최대 10억원이다.
윤 대표는 “중저신용자 대출 금리가 높기 때문에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늘어나며 연체율이 증가하는 건 자연스럽다”고 했다. 그는 “연체율이 늘어난 만큼 대손충당금을 확보하고 있느냐가 중요한 지표”라며 “중저신용자 대출 증가를 위해 올해도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카카오뱅크는 이날 기록통장 첫 번째 서비스로 최애 적금을 출시했다.
최애적금은 카카오뱅크 신규 수신 상품 기록통장 첫 번째 서비스다. 고객이 최애와 의미있는 순간마다 모으기 규칙을 통해 저축하고 기록을 남길 수 있다. 계좌 커버는 최애 사진으로 꾸밀 수 있고 모으기 규칙은 최대 20개까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향후 엔터테인먼트 산업, 연예인과 연계해 다양한 제휴 모델도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 7일부터 10일간 진행한 사전 신청에 약 40만명이 모였다.
윤 대표는 동남아 중심의 해외 진출 계획도 밝혔다. 그는 "동남아 2개국으로 해외 진출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1개 국가는 최소한 올해 가시적 성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머지 1개 국가도 연말까지 진출여부에 대해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다"며 "직접 진출하는 경우 해당 국가 라이선스(인허가) 취득에 어려움이 있지만, 좋은 파트너를 만나 간접 진출 형태로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