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소비자들의 향후 1년간의 물가상승 전망치를 보여주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1년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7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3%로 집계돼 6월(3.5%)보다 0.2%포인트(p) 내렸다. 지난해 5월(3.3%)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 들어 기대인플레이션율 추이를 보면, 2월 4.0%에서 3월 3.9%, 4월 3.7%, 5월 3.5%로 3개월 연속 떨어진 뒤 6월 3.5%에 머물다가 이달 다시 감소세를 보였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대까지 내린 것이 가장 큰 영향을 줬다"면서도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 집중호우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등이 예상돼 하락 흐름이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물가 상승세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 회복 기대에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개선세를 이어갔다.
경기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수치화 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7월 103.2로, 6월(100.7)보다 2.5p 증가했다.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내며 올 6월 13개월 만에 처음으로 100을 넘긴 후 두 달 연속 100 이상의 수치를 이어갔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6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소비지출 전망을 제외한 5개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현재경기판단(75)·향후경기전망(84)도 모두 6p씩 올랐고, 현재생활형편(91)도 2p 증가했다. 생활형편전망(94), 가계수입전망(99)은 1p씩 오름세를 보였으며, 소비지출전망(113)은 전월과 동일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2p 오른 102를 기록했다. 1년 뒤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예측하는 비율보다 커진 것이다. 주택가격 전망 지수는 지난해 11월(61) 역대 최저 수준까지 급감한 뒤 8개월 연속 오름 곡선을 그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