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05 (수)

경제

10월 소비자물가 3.8%↑…석달째 3%대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11-02 09:37

OECD 기준 근원물가 3.2%↑…생활물가지수 4.6% 올라

김보경통계청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2일오전세종시정부세종청사에서2023년10월소비자물가동향을발표하고있다./사진=연합뉴스
김보경통계청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2일오전세종시정부세종청사에서2023년10월소비자물가동향을발표하고있다./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고유가가 이어지고 농산물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지난 3월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으로 글로벌 유가의 변동성이 커진 데다, 이상기온과 맞물려 농산물값이 불안한 흐름을 이어간 탓에 소비자물가가 뚜렷하게 하향 안정화되지 못하는 분위기다.

2일 연합뉴스 등 통계청의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37(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8월 3.4%, 9월 3.7%에 이어 더 높아졌다.

작년 7월 6.3%를 정점으로 올해 7월 2.3%까지 내려온 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으로 3%대에 머문 셈이다.

석유류는 1년 전과 비교하면 1.3% 하락했다. 다만 전년동월비 하락 폭이 7월 -25.9%, 8월 -11.0%, 9월 -4.9% 등으로 줄어들면서 오히려 물가 상승 폭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동 전쟁 등의 요인으로 국제유가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 석유류 가격은 전월과 비교하면 1.4% 올랐다.

통계청 김보경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1월 물가는) 국제유가나 환율 등 외부적 요인이 작용하지 않을까 싶다"면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7.3% 올라 전월(3.7%)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채소류(5.3%)를 비롯한 농산물이 13.5% 뛰면서 2021년 5월(14.9%)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상 농산물을 수확하는 가을에는 공급이 늘면서 가격이 안정화된다.

그러나 올해는 이상저온 등 기상 여건이 좋지 않으면서 수확물이 줄어 가격 안정화가 더딘 모습이다.

농산물의 물가상승률에 대한 기여도는 0.61%포인트(p)였다. 농산물 가격이 전체 물가를 0.61%p가량 끌어올렸다는 뜻이다.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2.1% 올랐다.

지난해 9월(12.8%)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가운데 신선과실지수는 26.2% 뛰어 2011년 1월(31.9%) 이후 12년 9개월 만에 가장 오름폭이 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6%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2%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6% 상승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04.42 ▼117.32
코스닥 901.89 ▼24.68
코스피200 565.40 ▼16.54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898,000 ▲98,000
비트코인캐시 725,000 ▼1,000
이더리움 4,960,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1,530 ▼120
리플 3,347 ▼5
퀀텀 2,522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000,000 ▼1,000
이더리움 4,96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1,500 ▼160
메탈 588 ▼3
리스크 265 ▼1
리플 3,347 ▼4
에이다 795 ▼1
스팀 11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89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724,000 ▼5,000
이더리움 4,961,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1,470 ▼110
리플 3,345 ▼8
퀀텀 2,516 ▼41
이오타 19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