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더파워 최병수 기자] 고물가·고금리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넉 달 연속 악화했다. 주택가격전망도 2개월 연속 하락세를 그렸다.
일반인들의 향후 1년간 물가 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개월 연속 같은 수준을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7.2로 10월(98.1)보다 0.9포인트(p) 내렸다. 지난 7월 103.2까지 오른 이후 넉 달 연속 하락세다.
CCSI란 소비자동향지수(CSI)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지난 2003년부터 2022년까지 20년 장기 평균치를 기준값 100으로 두고 이를 웃돌면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 이보다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이와 관련 한은 측은 미국의 추가 긴축 기대 축소, 수출 경기 회복 조짐에도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내수 부진이 지속된 결과로 분석했다.
10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3개 지수가 하락했다.
항목별로 소비지출전망(111·-2p), 현재경기판단(62·-2p), 현재생활형편(87·-1p)이 내렸다. 생활형편전망(90)과 가계수입전망(98)은 전월과 같았으며, 향후경기전망(72·+2p)은 상승했다.
주택가격전망CSI는 한달 전보다 6포인트 하락한 102를 기록했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1년 후 집값이 오를지, 내릴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전망을 0에서 200 사이 숫자로 표현한 수치다. 100을 넘으면 집값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보다 우세하다는 의미다.
황희진 한국은행 통계조사팀장은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거래량도 부진한 가운데 대출금리가 높은 수준을 지속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금리수준전망CSI는 전월 대비 9포인트 하락한 119를 기록했다.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0월과 같은 3.4%로 집계됐다.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올해 2월 4.0%에서 점차 하락하다가 10월 3.4%로 반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