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05 (수)

더파워

지난해 경제성장률 1.4%... 수출 회복에 4분기 0.6%↑

메뉴

경제

지난해 경제성장률 1.4%... 수출 회복에 4분기 0.6%↑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1-25 09:18

민간소비 0.2%·정부소비 0.4%↑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지난해 한국 경제가 1.4% 성장했다. 한국은행과 정부의 전망치를 달성했지만, 성장률이 2022년(2.6%)의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2023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6%로 집계됐다고 25일 발표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분기별 성장률(전분기대비)은 수출 급감과 함께 2022년 4분기(-0.3%) 뒷걸음쳤다가 지난해 1분기(0.3%) 반등한 뒤 2분기(0.6%), 3분기(0.6%), 4분기(0.6%)에 걸쳐 네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기조를 유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은 1.4%로 집계됐다. 한은·정부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와 같지만, 코로나19 대유행 첫해인 2020년(-0.7%)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우선 민간소비의 경우 재화소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거주자 국외 소비지출을 중심으로 0.2% 늘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와 물건비 위주로 0.4% 증가했고,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등의 호조로 3.0% 성장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의 회복과 함께 2.6%,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0% 각각 늘었다.

하지만 건설투자의 경우 건물·토목 건설이 모두 줄면서 4.2% 감소했다.

4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순수출(수출-수입·0.8%p)이었고, 설비투자(0.3%p)와 민간소비(0.1%p), 정부소비(0.1%p)도 플러스(+)를 기록했다. 각 0.8%p, 0.3%p, 0.1%p, 0.1%p만큼 4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렸다는 뜻이다.

반대로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7%p 깎아내렸다.

업종별 성장률은 ▲ 전기·가스·수도업 11.1% ▲ 제조업 1.1% ▲ 서비스업 0.6% 등으로 집계됐다. 농림어업(-6.1%)과 건설업(-3.6%)은 역(-)성장했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0.4%로 실질 GDP 성장률(0.6%)을 밑돌았다.

다만 지난해 연간 실질 GDI 증가율(1.4%)의 경우 교역조건이 2022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실질 GDP 성장률(1.4%)과 같았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121.74 ▼100.13
코스닥 926.57 ▲12.02
코스피200 581.94 ▼17.0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337,000 ▲1,827,000
비트코인캐시 724,000 ▲17,500
이더리움 4,837,000 ▲60,000
이더리움클래식 21,540 ▲640
리플 3,309 ▲99
퀀텀 2,525 ▲3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350,000 ▲1,725,000
이더리움 4,843,000 ▲64,000
이더리움클래식 21,530 ▲560
메탈 592 ▲12
리스크 265 ▲6
리플 3,312 ▲104
에이다 781 ▲20
스팀 110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300,000 ▲1,550,000
비트코인캐시 723,000 ▲16,500
이더리움 4,839,000 ▲54,000
이더리움클래식 21,540 ▲600
리플 3,312 ▲99
퀀텀 2,500 ▲33
이오타 18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