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LG CNS-대한제강, 합작법인 ‘아이모스’ 설립… 철스크랩 분류 사업 본격화

메뉴

산업

LG CNS-대한제강, 합작법인 ‘아이모스’ 설립… 철스크랩 분류 사업 본격화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5-02 09:59

왼쪽부터LGCNS현신균대표,Aimos김범석대표,대한제강오치훈사장이합작법인출범기념사진을촬영하고있다.
왼쪽부터LGCNS현신균대표,Aimos김범석대표,대한제강오치훈사장이합작법인출범기념사진을촬영하고있다.
(더파워뉴스=유연수 기자) DX 전문기업 LG CNS와 대한제강이 손잡고 합작법인 ‘아이모스(Aimos)’를 설립했다.

LG CNS와 대한제강은 지난달 30일 부산시 대한제강 본사에서 합작법인 출범 기념식을 열었다고 2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대한제강 오치훈 사장, LG CNS 현신균 대표, 아이모스 김범석 대표 등이 참석했다.

아이모스는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 사업을 본격화한다. 철스크랩은 철과 스크랩(Scrap)의 합성어로 고철, 쇠 부스러기 등을 의미한다. 철스크랩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철스크랩을 활용하는 전기로 방식은 석탄을 사용하는 용광로(고로) 방식 대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적기 때문이다.

아이모스의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은 △도금과 도색이 안 된 파이프 등 가공하지 않은 고품질의 ‘생철’ △대형기계 해체물과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중량’ △자전거, 농기구 등 생활 고철로 대표되는 ‘경량’ 등 한국산업표준에 맞춰 철스크랩 등급을 구분한다. 철스크랩의 등급에 따라 가공·정제 과정이 달라진다.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SaaS 형태다.

LG CNS와 대한제강은 긴밀한 협력을 거쳐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을 상용화했으며, 대한제강 현장에도 적용했다.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은 AI 비전 카메라를 통해 화물차에 적재된 수백 개 이상의 철스크랩을 모두 식별할 수 있으며 ‘철근’, ‘잔고철’ 등 크기와 부피가 작은 품목도 인식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대한제강은 수십만 개 철스크랩의 △이미지 △품목 △품목별 철의 비율 △등급 등 각종 데이터를 집대성했다. LG CNS는 대한제강이 축적한 정보를 AI에 학습시켰고, 철스크랩의 등급을 판별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양사는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의 완성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아이모스는 향후 국내 최대 철스크랩 유통사인 에스피네이처와 협력해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해나갈 계획이다.

대한제강 오치훈 사장은 “철스크랩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자원 선순환 구조를 확산하고, ESG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LG CNS 현신균 대표는 “철강 업계가 친환경 생산체계 구축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대한제강과 함께 아이모스의 DX 기술력을 지속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3.27 ▲1.24
코스닥 810.59 ▲11.22
코스피200 432.97 ▲0.4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10,000 ▲693,000
비트코인캐시 673,000 ▲2,000
이더리움 4,055,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50 ▲120
리플 3,920 ▲23
퀀텀 3,06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73,000 ▲817,000
이더리움 4,056,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10 ▲70
메탈 1,050 ▲3
리스크 598 ▲1
리플 3,920 ▲18
에이다 993 ▲6
스팀 19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350,000 ▲700,000
비트코인캐시 673,500 ▲1,000
이더리움 4,05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670 ▲160
리플 3,920 ▲20
퀀텀 3,042 0
이오타 29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