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소매유통업계의 체감경기가 4년 만에 기준치를 넘어섰다.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움츠러들었던 소비심리가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 소비쿠폰 정책, 여름휴가 특수 등이 맞물리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3일 ‘2025년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가 102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전분기(75) 대비 27포인트 급등한 수치로, 2021년 3분기(106) 이후 4년 만에 기준치인 100을 넘어섰다. RBSI는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 회복을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대한상의는 “주식시장 반등, 기준금리 인하 기대,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 등이 소비 진작책과 여름 휴가 수요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유통업계 절반 이상인 52.4%는 “새 정부 출범이 자사 업황에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7.6%에 그쳤고, ‘영향 없음’은 30.0%였다.
업태별로는 편의점과 온라인쇼핑의 전망지수가 각각 108, 105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였다. 슈퍼마켓과 백화점도 기준치 100을 회복한 반면, 대형마트는 89로 유일하게 기준치를 하회했다.
편의점은 여름철 유동인구 증가로 간편식·음료 수요가 늘고, 소액 결제가 많아 소비쿠폰 수혜가 클 것으로 기대됐다. 온라인쇼핑은 여름철 여행·레저 수요 증가와 주식시장 반등에 따른 준내구재 소비 확대가 긍정 요인으로 작용했다.
슈퍼마켓은 고물가에 따른 집밥 선호, 지역 밀착 특성 덕에 소비쿠폰의 주요 사용처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백화점은 명품, 고가 패션 등 프리미엄 상품군 수요 증가와 휴가철 특수가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대형마트는 소비쿠폰 사용이 제한되는 데다, 온라인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점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희원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단기 기대심리를 실질 소비로 연결하기 위해선 정책적 뒷받침이 지속돼야 한다”며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내수 진작 행사, 에너지 효율 투자, 규제 개선 등을 통해 소비 여력 확충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