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리는 ‘퀀텀코리아 2025’에 참가해, 양자내성암호(PQC) 기반 인증 및 네트워크 보안 기술을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퀀텀코리아는 양자기술의 최신 동향과 산업 적용 가능성을 공유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기술 전문 행사다.
LG유플러스는 이번 행사에서 클라우드 기반 통합 계정관리 서비스 ‘알파키(AlphaKey)’와 통합 보안 플랫폼 ‘U+SASE’를 중심으로 전시 부스를 구성하고, 양자컴퓨팅 환경에서도 안전한 업무 인프라 구축이 가능한 자사 보안 기술을 집중 소개한다.
전시관은 사무실과 원격근무지를 각각 표현한 양면 부스로 구성됐다. 관람객은 LG유플러스의 PQC 기반 보안 솔루션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한 업무 환경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알파키 체험존에서는 사용자·관리자 환경을 구현한 태블릿 기반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제 인증 절차를 경험할 수 있으며, 기술 설명 패널과 영상, 퀴즈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LG유플러스는 이와 함께 ▲U+PQC PUF USIM, ▲U+PQC ROADM, ▲U+PQC 라우터, ▲U+PQC PTN, ▲U+PQC IPSec VPN 등 PQC 기반 보안 장비 5종을 실물로 전시하고, ‘PQC 네트워크존’을 통해 장비 간 보안 흐름을 시각적으로 설명한다. 해당 장비들은 현재 기업 고객 대상 상용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알파키’는 PQC 알고리즘을 적용한 2차 인증 앱을 제공하며, FIDO, 패스키, 간편인증 등 다양한 인증 수단을 통합 지원한다. 계정 생성부터 퇴사자 접근 차단까지 계정 관리 자동화를 지원해 기업 보안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최근에는 CRM 솔루션 기업 ‘비즈니스캔버스’의 SaaS 서비스 ‘리캐치’에 도입돼 보안 수준을 높인 사례도 있다.
통합 보안 플랫폼 ‘U+SASE’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엔드포인트, 보안관제를 하나로 통합한 제로트러스트 기반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향후에는 KpqC 표준 후보 알고리즘을 암호화 구간에 적용하고, 사이버 보안 메시 아키텍처(CSMA) 기반 확장 전략도 소개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전시를 통해 동형암호, 영지식증명 등 다양한 차세대 암호기술의 서비스화 로드맵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별 맞춤형 보안 서비스 확대, AI 기반 보안 탐지 기술 접목, DevSecOps 강화 등 지속적인 고도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 주엄개 상무는 “양자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체계를 갖추는 것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알파키와 U+SASE를 기반으로 고객 안심이라는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