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6 (일)

더파워

“유방초음파, 갑상선검사 받을까 말까?”…현명한 건강검진, 의사 상담이 먼저다

메뉴

산업

“유방초음파, 갑상선검사 받을까 말까?”…현명한 건강검진, 의사 상담이 먼저다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6-25 10:00

“유방초음파, 갑상선검사 받을까 말까?”…현명한 건강검진, 의사 상담이 먼저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국가가 제공하는 건강검진 외에도 본인이 비용을 부담해 추가 검사를 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러나 검진 항목을 무턱대고 늘리기보다, 자신에게 필요한 검사인지 여부를 전문가와 상담한 후 결정하는 것이 불필요한 비용과 방사선 노출을 줄이는 길이라는 조언이 나온다.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가정의학과 김형욱 과장은 “건강검진은 증상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몸에 이상 증상이 있다면 먼저 의사의 진료를 받고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국가 일반검진의 피검사 항목에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수치는 남성은 24세, 여성은 40세부터 4년마다 시행되며, 기존에 이상지질혈증 진단을 받았거나 약을 복용 중이라면 검사 대상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암 검진 항목에서도 오해가 많다. 40세 이상 여성은 2년마다 유방촬영술을 받을 수 있으나, 촬영만으로는 유방 결절이나 낭종을 확인하기 어려워 초음파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특히 치밀 유방 소견이 있는 여성은 유방초음파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자궁경부암의 경우, 20세 이상 여성은 2년마다 자궁경부세포검사를 받을 수 있지만, 초음파나 종양표지자 검사는 국가검진에 포함되지 않는다. 가족력이 있거나 부인과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대장암 검진은 50세 이상에게 분변잠혈검사를 매년 시행하고, 양성 반응 시 대장내시경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복부 불편감, 비만, 음주·흡연 등 개인별 위험요소에 따라 선제적으로 대장내시경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의사 상담이 권장된다.

최근 관심이 높아진 갑상선 초음파는 국가검진에 포함돼 있지 않다. 김형욱 과장은 “갑상선암은 초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혹이 만져지거나 목소리 변화가 있을 땐 반드시 진료가 필요하다”며 “가족력이나 방사선 노출 병력이 있다면 검진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B형 간염, C형 간염, 폐암, 췌장암 등은 연령이나 위험군 여부에 따라 검진 여부가 결정된다. 예컨대, 54~74세 흡연자 중 30갑년 이상 흡연 이력이 있는 경우 폐암 고위험군으로 분류돼 저선량 CT 검사를 받을 수 있다.

김 과장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일반검진과 암검진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꼭 받는 것이 좋다”며 “검진 외에 추가 검사는 의사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고, 자신의 건강 상태에 꼭 필요한 검진만 받을 수 있는 현명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00,000 ▼70,000
비트코인캐시 667,000 ▲500
이더리움 3,43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2,310 ▼20
리플 3,037 ▲2
퀀텀 2,658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31,000 ▼154,000
이더리움 3,437,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2,300 ▼30
메탈 908 ▼0
리스크 510 ▼1
리플 3,038 ▲2
에이다 785 ▼3
스팀 17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2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667,000 ▲1,500
이더리움 3,43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2,290 ▼50
리플 3,039 ▲2
퀀텀 2,662 0
이오타 21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