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7 (목)

더파워

AI 산업, ‘캐즘’ 구간 진입…Agentic·Physical AI 중심 재편 신호

메뉴

이슈포커스

AI 산업, ‘캐즘’ 구간 진입…Agentic·Physical AI 중심 재편 신호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7-16 09:50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없음.[사진=AI 이용해 생성]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없음.[사진=AI 이용해 생성]
[더파워 유연수 기자] AI 산업이 초기 설치기를 지나 ‘캐즘(chasm)’ 국면에 진입했다는 진단이 나왔다. IBK투자증권은 16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AI 기술은 하드웨어 인프라가 빠르게 구축됐지만, 아직 대중적인 수요 확대나 수익 창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며 “이는 기술 확산 이론상 캐즘에 해당하는 단계”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AI 활용은 실제 서비스 고도화보다는 PoC(개념검증)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고성능을 앞세운 경쟁 구도에 비해 사용자 체감도는 낮고, 수익화도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반복적인 오류(hallucination), 프라이버시 우려 등으로 사용자 피로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짚었다.

IBK투자증권은 AI 산업이 2025년을 기점으로 두 번째 설치기 진입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그 사례로 올해 1월 20일 공개된 ‘딥시크(DeepSeek R1)’와 6월 발표된 메타의 ‘MSL(Meta Supervised Learning)’ 설립을 제시했다.

‘딥시크 R1’은 연산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GPT-4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으며, 학습 코드와 매뉴얼을 공개해 ‘고성능=대규모 GPU’라는 공식에 의문을 제기한 사례로 평가됐다. 메타는 MSL 출범을 통해 FAIR, LLaMA, 연구조직 등을 통합하고, 최고 수준의 보상을 제시하며 인재 유치 경쟁을 강화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 두 사건이 향후 AI 생태계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보고서는 AI 산업의 다음 단계로 ‘Agentic AI’와 ‘Physical AI’를 지목했다. Agentic AI는 단순 응답을 넘어 문제를 인식하고 목표를 설정해 스스로 해결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챗봇→리즌러→에이전트의 5단계 진화 과정 중 현재는 리즌러에서 에이전트로 전환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Physical AI는 Agentic AI가 로봇, 드론, 자율주행차 등과 결합해 물리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로, LLM(Large Language Model) → LAM(Large Action Model) → Physical AI 순으로 기술 진화가 진행 중이라고 보고서는 정리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이러한 기술 전환에 맞춰 전략을 고도화하고 있다. 구글은 Gemini 2.5와 Project Astra, A2A 프로토콜을 활용해 Agentic AI로 진입하고 있으며, 오픈AI는 o3/o4-mini 등 경량 모델과 ‘io’ 인수를 통해 독자 플랫폼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메타는 Llama 4 기반 스마트글래스, MSL 설립 등으로 고성능·오픈소스·멀티모달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IBK투자증권은 AI 산업이 닷컴버블과 유사한 고평가 우려가 일부 존재하지만, 당시와 달리 현재는 매출 기반이 견고한 빅테크 중심 구조이며, 대부분 비상장 기업 중심의 투자 유입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정부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보고서는 평가했다. 2025년 7월 기준, 정부는 민간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100조원 규모 AI 투자를 계획 중이며, AI 기본법, GA법, GPU 확보 정책, 데이터센터 구축, AI 정책수석 신설 등 전방위 대응이 추진되고 있다.

보고서는 AI 산업이 중장기적으로는 Agentic 및 Physical AI 중심의 새로운 전개기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면서도, 단기적으로는 수요 정체 및 기술 고도화 지연에 따른 일부 기업의 조정 가능성을 제시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5.18 ▼21.20
코스닥 809.55 ▼2.68
코스피200 428.09 ▼3.07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887,000 ▲851,000
비트코인캐시 681,000 ▲3,000
이더리움 4,603,000 ▲52,000
이더리움클래식 27,220 ▲240
리플 4,155 ▲37
퀀텀 3,190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975,000 ▲754,000
이더리움 4,608,000 ▲60,000
이더리움클래식 27,280 ▲270
메탈 1,098 ▲2
리스크 636 ▲1
리플 4,159 ▲39
에이다 1,048 ▲14
스팀 20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980,000 ▲800,000
비트코인캐시 681,500 ▲3,000
이더리움 4,605,000 ▲51,000
이더리움클래식 27,210 ▲170
리플 4,156 ▲40
퀀텀 3,205 ▼55
이오타 3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