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7 (목)

더파워

[기후위기와 기업 전략] CJ, ESG 전환 본격화…기후 리스크 대응부터 인재 전략까지 전방위 체계 구축

메뉴

ESG·지속가능경영

[기후위기와 기업 전략] CJ, ESG 전환 본격화…기후 리스크 대응부터 인재 전략까지 전방위 체계 구축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7-16 15:58

CJ 로고
CJ 로고
[더파워 유연수 기자] CJ그룹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3년 발간된 ESG 보고서에 따르면, CJ는 기후 리스크 대응, 온실가스 감축, 안전보건 및 인권경영 체계 강화, 인적자본 전략 고도화 등 전방위적인 지속가능 전략을 가동하며 그룹 차원의 ESG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CJ㈜는 ESG 위원회를 중심으로 그룹 차원의 지배구조(Governance) 체계를 정비하고, 환경경영협의체 및 기후 리스크 평가 체계를 구축해 ESG 경영 기반을 다지고 있다. 2023년에는 중대성 평가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안전보건, 인권경영, 공급망 관리, 책임 있는 상품·서비스 등 그룹 공통 이슈 5개와 함께 인적자본, 투명성, 윤리·준법경영,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 등 4개 지주사 중심 이슈를 도출해 전략 과제로 반영했다.

특히 기후 리스크 관리 체계가 핵심으로 부상했다. CJ는 28개 계열사를 대상으로 전환 리스크(1.5℃ 시나리오)와 물리 리스크(3℃ 이상 시나리오)를 분석했으며, 주요 사업장과 공급망 원재료를 포함한 평가를 바탕으로 기후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전략도 본격화됐다. CJ그룹은 Scope 1·2 기준 연간 537만tCO₂eq, Scope 3 기준 999만tCO₂eq(4개사 기준)를 산정하고 있으며, 배출의 98%가 식품·바이오와 물류 부문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CJ제일제당과 CJ대한통운은 우선적으로 감축 목표를 수립·공개했으며, 이를 전 계열사로 확산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은 중국·인도네시아 사업장에서 석탄 연료를 LNG·바이오매스로 전환해 연간 30만t 이상의 온실가스를 줄였고, 국내외 12개 사업장에 태양광 설비를 도입하는 등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플라스틱 저감 전략으로는 PHA 생분해 플라스틱 상용화,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확대, ‘문제성 소재(Problematic Material)’ 사용 중단, 유통 계열사(CJ올리브영·CJ ENM)의 순환경제 전략 등이 병행되고 있다.

사회 분야에서는 안전보건과 인권경영 체계 구축이 눈에 띈다. CJ는 2022년부터 ‘그룹 안전경영 포럼’을 운영해 계열사 간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진단팀을 통해 해외 사업장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보건 점검을 시행 중이다. CJ제일제당은 2023년 한 해 동안 식품·BIO·사료 사업장에서 377건의 보완사항을 개선했으며, 글로벌 안전보건 가이드북과 국가별 법령 기반 EHS 자가평가 시스템도 마련했다.

인권경영 부문에서는 그룹 인권경영협의체를 중심으로 전 계열사에 인권경영 체계를 구축했고, 주요 계열사는 공급망까지 인권 실사를 확대 적용하고 있다. 실사는 사전 설문과 현장 방문, 인터뷰를 통해 리스크를 식별하고 개선과제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아울러 ‘인재제일’ 이념에 기반한 인적자본 전략도 강화됐다. CJ는 핵심 직무 중심의 인재 확보와 글로벌 인재 육성, 리더 양성, 포용적 조직문화 조성 등을 핵심 전략으로 설정했다. AI 기반 교육 플랫폼 ‘CJ캠퍼스’는 직무·글로벌 역량 개발을 지원하며, 차세대 CEO 후보군 선발·육성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DE&I(다양성·공정성·포용성) 전략 역시 병행되며, 공정한 보상과 평가, 사내 아이디어 공모 및 창업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조직 역동성을 높이고 있다.

CJ는 향후 Scope 3 배출 산정 범위 확대, 전 계열사 기후 리스크 분석 적용, 그룹 차원의 감축 목표 수립 등을 통해 ESG 경영을 더욱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6.38 0.00
코스닥 812.23 0.00
코스피200 431.16 0.0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29,000 ▼567,000
비트코인캐시 678,000 ▼6,000
이더리움 4,569,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6,980 ▼320
리플 4,128 ▼44
퀀텀 3,189 ▼4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38,000 ▼562,000
이더리움 4,56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6,970 ▼330
메탈 1,096 ▼9
리스크 638 ▼1
리플 4,125 ▼43
에이다 1,037 ▼13
스팀 20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30,000 ▼470,000
비트코인캐시 678,500 ▼7,500
이더리움 4,565,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6,960 ▼340
리플 4,130 ▼39
퀀텀 3,205 ▼55
이오타 31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