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31 (목)

더파워

여성 대장암 절반 이상은 ‘오른쪽’… “암 생존 전략 자체가 다르다”

메뉴

산업

여성 대장암 절반 이상은 ‘오른쪽’… “암 생존 전략 자체가 다르다”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7-30 09:01

“면역회피 유전자 활성화, 발병 경로 자체 달라”

(왼쪽부터)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송진희 연구교수, 최용훈 교수
(왼쪽부터)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송진희 연구교수, 최용훈 교수
[더파워 유연수 기자] 여성의 절반 이상이 오른쪽 대장에서 대장암이 발생하며, 이 부위 암세포는 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유전자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자라는 것으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송진희 연구교수, 최용훈 교수)은 대장암의 성별과 발생 위치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 우측 대장암에서 암세포가 생존을 위해 면역 공격을 피하는 유전자가 뚜렷하게 발현된다고 30일 밝혔다.

대장암은 국내에서 연간 3만명 이상이 진단받는 주요 암으로, 남녀 모두에게 흔하지만 그 특성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여성은 주로 상행결장 등 오른쪽 대장에 암이 발생하는 반면, 남성은 하행결장 등 왼쪽 대장에 주로 암이 생긴다. 여성의 우측 대장암은 편평한 톱니모양의 선종에서 진행돼 조기 발견이 어려운 데 비해, 남성의 좌측 대장암은 관상 선종에서 시작되고 발병 시기도 평균적으로 5~7년 빠르다.

김 교수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진료받은 대장암 환자 378명의 종양 조직 샘플을 분석해 성별과 암 발생 부위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정밀 관찰했다. 그 결과, 여성 우측 대장암 환자에서는 항산화 조절 유전자 ‘NRF2’와 면역 회피 단백질 ‘PD-L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이 확인됐다. NRF2는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PD-L1은 면역세포의 공격을 억제해 암세포가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 단백질이다.

정면에서 바라본 대장암의 위치별 분류
정면에서 바라본 대장암의 위치별 분류


이러한 결과는 우측 대장암이 암세포 자체가 방어 전략을 갖춘 상태에서 시작되고, 면역 환경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생존을 꾀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염색체 불안정성이 주된 원인인 좌측 대장암과는 발생 기전이 근본적으로 다름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이외에도 대장암 전반에서 염증 반응 관련 유전자 ‘COX-2’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의 발현이 암의 진행 단계에 따라 점차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염증과 면역 환경이 암의 형성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뒷받침하며, 특히 PD-L1이 활성화된 여성 우측 대장암에서는 이러한 염증-면역 교란이 주요한 발병 기전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는 단순히 대장암의 위치나 병기에 기반한 기존 분류 방식에서 벗어나, 성별과 발생 위치에 따라 암세포의 분자적 작동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유전자 수준에서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암 치료가 암종과 병기에 따라 일률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유전적 특성과 면역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 및 면역항암제 적용 전략으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결과는 대장암 정밀의료 전환의 핵심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김나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장암을 보다 정밀하게 이해하고 치료 전략을 차별화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다”며 “특히 여성에게 흔한 우측 대장암은 면역 회피 기전이 명확히 드러난 만큼, 향후 면역항암제의 반응 예측과 환자 선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54.47 ▲23.90
코스닥 803.67 ▼0.78
코스피200 439.81 ▲3.97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750,000 ▼1,000
비트코인캐시 790,000 ▲7,000
이더리움 5,253,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9,610 ▲50
리플 4,317 ▼13
퀀텀 3,008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00,000 ▼134,000
이더리움 5,252,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9,590 ▲10
메탈 1,050 0
리스크 613 0
리플 4,315 ▼12
에이다 1,066 ▼1
스팀 19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70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789,500 ▲6,000
이더리움 5,25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610 ▲40
리플 4,318 ▼13
퀀텀 2,999 0
이오타 27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