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07 (목)

더파워

치명적 뇌종양 ‘교모세포종’, 줄기세포 면역치료 길 열리나

메뉴

산업

치명적 뇌종양 ‘교모세포종’, 줄기세포 면역치료 길 열리나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8-07 09:20

사진.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 교수
사진.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 교수
[더파워 유연수 기자] 가장 예후가 나쁜 뇌종양으로 꼽히는 교모세포종에 대해 줄기세포 기반 면역유전자 치료가 장기 생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7일, 안스데반 신경외과 교수 연구팀이 줄기세포와 면역관문억제제를 병용한 면역유전자 치료 전략으로 교모세포종에 장기적인 항종양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수술, 방사선, 항암치료를 병행해도 재발이 잦고 평균 생존기간이 15개월에 불과한 악성 뇌종양으로,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난치성 암이다.

안 교수팀은 전임상 마우스 모델에서 교모세포종을 이식한 뒤 ▲PD-1 면역관문억제제, ▲인터루킨-12(IL-12)를 전달하는 줄기세포(MSC_IL-12), ▲두 치료를 병용한 그룹으로 나눠 효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병용투여군에서는 50%의 완전관해가 확인됐으며, 종양을 재이식해도 재발하지 않는 장기 면역 기억 효과도 입증됐다.

치료 반응의 기전 분석도 이뤄졌다.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결과, 항PD-1은 CD8+ T세포를, IL-12는 CD4+ T세포와 NK세포를 각각 활성화시켰으며, 병용군에서는 모든 면역세포의 침윤이 증가했다. 반면 종양 성장을 돕는 Treg 세포와 M2형 미세아교세포는 줄어들어 면역친화적 종양 환경이 형성됐다.

안 교수는 “줄기세포 기반으로 IL-12를 전달한 점이 바이러스 기반 유전자 치료와 차별화되는 지점”이라며 “MSC는 종양조직으로 잘 이동하고 면역원성이 낮아 사전 제조 가능한 유전자 치료 플랫폼으로도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임상에서 사용 중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줄기세포 유전자치료의 병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미가 크다”며, “식약처 승인 등 임상시험 진입을 위한 후속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대한뇌종양학회로부터 ‘기초부문 최우수 학술상’을 수상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4.08 ▲15.94
코스닥 804.00 ▲0.51
코스피200 433.09 ▲2.41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82,000 ▼35,000
비트코인캐시 794,000 0
이더리움 5,104,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8,060 ▼100
리플 4,145 ▼14
퀀텀 2,885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52,000 ▼157,000
이더리움 5,102,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8,080 ▼70
메탈 1,000 ▼3
리스크 566 0
리플 4,147 ▼11
에이다 1,026 ▼3
스팀 18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0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794,000 ▼1,500
이더리움 5,10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8,100 ▼90
리플 4,143 ▼17
퀀텀 2,905 ▼27
이오타 26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