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11 (월)

더파워

쌀·라면·생선 값 동반 급등…먹거리 물가 1년 만에 최고

메뉴

경제

쌀·라면·생선 값 동반 급등…먹거리 물가 1년 만에 최고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8-11 09:07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지난달 서민 식탁에 오르는 주요 식품 가격이 일제히 오르며 먹거리 물가가 1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여기에 교통요금까지 인상되면서 가계 부담이 한층 커지고 있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년=100)로 전년 동월보다 3.5%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2.1%)을 1%포인트 이상 웃돌며 지난해 7월(3.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5월까지 2.0~3.0%대를 유지하다가 6월과 7월 두 달 연속 3%대 중반을 기록했다. 폭염·폭우 등 이상기온과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품목별로는 어류 및 수산물이 7.2% 올라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오징어채(42.9%), 조기(13.4%), 고등어(12.6%) 등은 두 자릿수 인상률을 기록했다. 빵 및 곡물은 6.6% 올라 2023년 9월 이후 최대 상승률을 보였으며, 쌀은 7.6%로 1년 4개월 만에 다시 7%대를 기록했다. 라면도 6.5% 올라 3개월 연속 6%대 상승세를 이어갔다.

과자·빙과류 및 당류(5.0%), 기타 식료품(4.7%), 우유·치즈·계란(3.6%)도 가격이 크게 올랐다. 비주류 음료 중에서는 커피·차·코코아(13.5%), 생수·청량음료·과일주스·채소주스(3.4%)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이와 함께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1400원에서 1550원으로 인상되면서 도시철도료 물가가 7.0% 뛰었다.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3월 이후 1.3%대에서 이번에 1.4%로 확대됐다. 출퇴근 지하철 왕복 요금이 하루 3000원을 넘어서며 고정 생활비가 늘어난 셈이다.

정부는 상반기 중앙부처가 관리하는 공공요금은 동결했지만, 하반기 전기·가스·철도 요금 인상 가능성이 남아 있어 서민 가계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6.77 ▼3.24
코스닥 811.85 ▲2.58
코스피200 433.29 ▼0.1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300,000 ▼689,000
비트코인캐시 786,500 ▼3,500
이더리움 5,852,000 ▼34,000
이더리움클래식 31,460 ▼480
리플 4,433 ▼42
퀀텀 2,975 ▼4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03,000 ▼729,000
이더리움 5,841,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31,400 ▼480
메탈 1,053 ▼12
리스크 602 ▼8
리플 4,431 ▼39
에이다 1,108 ▼15
스팀 18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40,000 ▼870,000
비트코인캐시 787,000 ▼3,000
이더리움 5,845,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31,440 ▼540
리플 4,436 ▼38
퀀텀 3,039 0
이오타 29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