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성기혁 교수 연구팀이 소아 특발성 평발 환자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두 수술법인 ‘종골 연장술’과 ‘종골 정지술’의 효과와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특발성 평발은 외상이나 질병 없이 성장기 아동에게 나타나는 발 변형으로, 발바닥 아치가 무너지고 발이 안쪽으로 꺾여 통증과 보행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하며, 대표적으로 종골을 절골해 뼈를 이식하는 ‘종골 연장술’과 나사로 교정하는 ‘종골 정지술’이 사용된다.
연구팀은 2003~2022년 평발 교정 수술을 받은 1014세 환자 127명(223족)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방사선 사진, 삶의 질 평가(OAFQ), 회복 기간,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했다. 두 수술 모두 발 아치·정렬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 회복 속도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종골 정지술 환자군은 평균 17.6일 만에 정상 보행이 가능했지만, 종골 연장술 환자군은 평균 42.9일이 소요됐다. 또한 종골 정지술에서 주요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다.
다만 종골 정지술은 발 성장 완료 시점인 수술 후 약 3년 뒤 나사 제거 수술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절개 범위가 작고 회복이 빠르며 합병증 위험이 낮은 점을 들어, 종골 정지술이 소아 평발 교정에서 우선 고려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성기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환자 상태에 따른 최적 수술법 선택의 근거를 마련했다”며 “향후 종골 정지술 환자의 장기 예후를 확인하는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