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화그룹이 미국 필라델피아에 보유한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양국 간 조선산업 협력의 대장정을 본격화했다.
한화그룹은 26일(현지 시각) 한화필리조선소에서 미국 해사청(MARAD)이 발주한 ‘국가안보 다목적 선박’ 3호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State of Maine)’호 명명식을 열고, 조선산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의 출발을 선언했다고 밝혔다.
명명식에는 이재명 대통령 부부와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위성락 대통령실 안보실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 측에서는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토드 영 인디애나주 상원의원, 메리 게이 스캔런 연방 하원의원 등이 함께했다. 한화그룹에서는 김동관 부회장과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 등이 자리했다.
한화그룹은 이날 행사에서 한화필리조선소에 총 5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한미 관세 협상에서 핵심 지렛대로 활용된 1500억달러 규모 조선산업 협력 펀드를 재원으로 한다. 그룹은 추가 도크와 안벽 확보, 블록 생산기지 신설 등을 통해 현재 연간 1~1.5척 수준인 선박 건조 능력을 20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같은 날 한화해운은 한화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이는 마스가 프로젝트의 첫 대규모 수주 계약으로, 한화필리조선소가 양국 조선산업 협력의 핵심 거점으로 떠올랐음을 보여준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을 시찰하며 방명록에 “한미 조선 협력의 상징인 한화필리조선소에서 한미 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적었다. 전날 정상회담에서도 “제조업 르네상스 과정에 한국도 함께하길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한국과 협력해 미국 조선업을 부흥시키고 싶다”고 강조했다.
김동관 한화 부회장은 “한화는 미국 조선산업의 든든한 파트너로서 중추적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양국이 함께 새로운 투자와 기회를 창출하고, 숙련 인재 양성을 통해 조선업의 르네상스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한화그룹은 이번 대규모 투자와 발주를 통해 미국 조선업 부활과 동시에 국내 일자리 창출, 조선산업 생태계 강화 등 ‘윈윈’ 효과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