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29 (금)

더파워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 베이비부머 노후 해법 될까

메뉴

경제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 베이비부머 노후 해법 될까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8-29 11:15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 베이비부머 노후 해법 될까
[더파워 최병수 기자]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가장 큰 고민은 ‘생활비’다. 정년은 여전히 60세 전후에 머물러 있지만 기대수명은 2063년 90세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수명은 늘었지만 노후 재정 준비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점에서 은퇴 이후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하나금융연구소가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50~64세, 금융자산 1억10억원 보유)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58.5%가 은퇴 후 재정 상태에 불안함을 느끼고 있으며 중대 질환(54.2%), 생활비 부족(47.4%) 등을 주요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또 “스스로 노후 재무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응답도 39.4%에 달했다. 특히 실거래가 17억원 이상 고가 주택을 보유했지만 금융자산은 3억원 미만인 시니어층에서는 은퇴 후 현금흐름 설계에 대한 고민이 8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60대 이상 가구 자산의 79%가 부동산에 집중돼 있다는 점은 이들의 불안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주택을 처분해 생활비로 전환하기도 쉽지 않다. 은퇴 이후에도 독립적인 거주를 유지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결국 주택을 팔지 않고도 정기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해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은 공시가격 12억원 이하 주택만 가능하고, 민간 역모기지는 종신형 연금 지급이 보장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일부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상승하면서 제도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이런 공백을 메우기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5월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을 선보였다. 공시가격 12억원을 초과하는 주택도 가입할 수 있어 자산은 많지만 유동성은 부족한 베이비부머에게 새로운 선택지가 되고 있다.

상품 구조는 단순하다. 보유 주택을 담보로 평생 거주를 보장받으면서 매달 연금을 수령한다. 가입자가 사망해도 배우자가 동일 금액을 계속 받을 수 있으며, 부부 모두 사망하면 주택을 처분해 남은 자산은 상속인에게 귀속된다.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부족액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는 ‘비소구’ 방식이라는 점도 특징이다.

출시 이후 현장에서는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금융자산이 많지 않은 고가 주택 보유자, 소득이 줄어든 은퇴 직후 시니어층이 주요 수요층이다. 이들은 현재의 주거를 유지하면서도 생활비 확보가 필요해 ‘내집을 기반으로 한 연금’이라는 개념에 높은 관심을 보인다.

베이비부머의 은퇴 문제는 한국 사회 고령화의 축소판이다. 부동산 자산을 유동화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마련하는 방식은 단순한 금융상품을 넘어 사회적 안전망의 의미를 갖는다.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은 시니어층의 주거 안정과 노후 생활비 문제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3.31 ▼3.01
코스닥 797.53 ▼0.90
코스피200 431.25 ▼0.56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832,000 ▲30,000
비트코인캐시 777,000 0
이더리움 6,253,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30,010 ▼70
리플 4,087 ▼27
퀀텀 3,978 ▼14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851,000 ▲36,000
이더리움 6,251,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30,000 ▼90
메탈 1,036 ▼2
리스크 546 ▼2
리플 4,084 ▼30
에이다 1,185 ▼3
스팀 18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86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777,000 ▲500
이더리움 6,25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0,010 ▲10
리플 4,086 ▼29
퀀텀 3,987 ▼158
이오타 27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