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위암은 한국에서 특히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암이다. 세계암연구기금이 발표한 2022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위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7명으로 세계 평균 9.2명보다 3배가량 높다.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장재영 교수는 “위암의 대표적 원인으로 짜고 자극적인 음식, 발암물질이 포함된 음식 섭취,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 꼽힌다”며 “특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WHO 지정 1군 발암물질로, 일반인보다 위암 발생 위험을 3배 이상 높인다”고 말했다. 전염 경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사람 간 전파가 추정되며, 음식을 한 그릇에 놓고 먹거나 술잔을 돌리는 한국 특유의 식문화 개선이 필요하다.
김용호 경희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김치·젓갈 등 염분이 많은 전통 음식과 함께 햄·베이컨·소시지 같은 가공육에 들어 있는 아질산염도 발암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며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암은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95% 이상으로 높지만, 소화불량·속쓰림 외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진단이 쉽지 않다. 체중 감소, 빈혈, 출혈은 진행 단계에서 나타난다. 장 교수는 “건강검진 보편화와 내시경 기술 발전으로 조기 진단율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며 “영상강화내시경, 확대내시경 등을 통해 미세 암조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은 내시경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내시경 절제술은 위를 보존할 수 있어 회복이 빠르고 삶의 질 변화가 적은 장점이 있다. 다만 낮은 확률로 다른 부위에 재발할 수 있어 치료 후에도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김용호 교수는 “조기 위암을 벗어나거나 진행이 된 경우에는 위절제술이 필요하다”며 “위 절제 범위는 암 발생 위치와 전이 가능성을 고려해 결정한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개복 수술 대신 절개 범위를 줄이고 회복이 빠른 복강경 수술, 손 떨림 없이 정밀 절제가 가능한 로봇 수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김 교수는 “환자 상태와 병기에 맞는 적절한 수술법을 찾는 것이 치료 효과를 높이는 핵심”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