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SK하이닉스가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글로벌 D램 시장 1위를 지켰다. 삼성전자와의 매출·점유율 격차도 더욱 벌리며 독주 체제를 강화했다.
5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D램 업계 매출 규모는 전 분기보다 17.3% 증가한 309억1600만달러(약 43조원)로 집계됐다. 이는 D램 계약 가격 상승과 HBM 출하량 증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업체별 점유율에서는 HBM 시장 지배력이 희비를 갈랐다. SK하이닉스의 D램 점유율(매출 기준)은 1분기 36.9%에서 2분기 39.5%로 상승하며 2분기 연속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는 34.4%에서 33.3%로 하락하며 2위에 머물렀다. 양사 간 격차는 2.5%포인트에서 6.2%포인트로 확대됐다.
매출 규모도 SK하이닉스는 122억2600만달러를 기록해 삼성전자(103억달러)보다 19억달러 이상 앞섰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D램 점유율 1위를 기록한 것은 1992년 삼성전자가 세계 시장 정상에 오른 이후 33년 만이다.
다른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 역시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이 1분기 36%에서 2분기 38.7%로 2.7%포인트 증가해 1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현재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며 최대 공급자로 자리잡았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대부분의 HBM 물량을 공급하고 있으며, 올해 물량은 이미 ‘완판’됐고 내년 물량 계약도 협상이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가 HBM 독주를 기반으로 올해 연간 글로벌 D램 시장 1위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