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 셀트리온홀딩스가 자회사 주주가치 제고와 지주사 수익성 개선을 위해 셀트리온 주식 대규모 장내 매입에 나섰다.
셀트리온홀딩스는 지난달 7일부터 이달 5일까지 약 262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 장내 매입을 완료했으며, 1250억원 규모의 추가 매입을 결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매입은 오는 10월 10일부터 11월 7일까지 장내 매수 방식으로 진행된다.
앞서 홀딩스는 지난 7월 수익성 개선 및 자회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총 50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지분 매입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당초 예정했던 2500억원보다 많은 금액을 1차 매입에 투입한 데 이어 곧바로 추가 매입에 나서면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올해 4월에도 1000억원 규모의 매입 계획을 밝힌 뒤 1240억원을 실제 취득한 바 있다.
홀딩스는 시장의 저평가가 지속될 경우 5000억원 계획 외에도 추가 자금 투입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미 1조원 규모의 신규 재원을 확보했으며, 필요 시 자회사 주식 매입에 투입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다.
또한 향후 셀트리온 기업가치 저평가가 완화되고 대외 불확실성이 해소될 경우, 신규 매입분을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다만 이번 신규 매입분 외 기존에 보유한 지분은 장기 보유 방침을 유지한다.
홀딩스는 이번 지분 확대를 그룹 차원의 사업구조 개편과 연계해 지주사의 자본 생산성과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순수 지주사에서 사업 지주사로 전환하기 위한 M&A 방안도 검토 중이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홀딩스의 사업 지주사 전환 로드맵에 맞춰 수익성과 효율화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며 “셀트리온은 내재 가치 대비 저평가돼 있고 성장 가능성이 높아 이번 매입은 그룹 안정적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셀트리온은 하반기 미국 의약품 관세 이슈 해소와 글로벌 성장을 통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미국 내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인수의 본계약을 앞두고 있으며, 계약이 마무리되면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해 관세 부담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적 측면에서도 고수익 신규 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개편으로 매출과 이익이 동반 성장하고 있다. 합병 이후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셀트리온은 하반기에도 글로벌 주요 시장을 대상으로 고마진 신제품 출시와 시장 확대를 추진해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