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0.28 (화)

더파워

가톨릭대 연구팀, 류마티스관절염 근본 치료 가능성 제시

메뉴

산업

가톨릭대 연구팀, 류마티스관절염 근본 치료 가능성 제시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0-15 09:58

유승아 교수
유승아 교수
[더파워 유연수 기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유승아 교수 연구팀이 류마티스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관절 파괴의 핵심 세포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원리를 규명했으며, 이번 성과는 국제 학술지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의생명과학교실과 창의시스템의학연구센터, 바이오기업 지바이오로직스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에는 유승아 교수와 김완욱 교수를 비롯해 이미령 박사, 남민경 박사 등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했으며, 환자 조직과 동물 모델을 활용해 과학적 근거를 확보했다.

연구팀은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활막세포 중 공격성이 높은 아형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이 세포는 ‘MIF(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단백질을 과도하게 생성하며,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기능 이상으로 증식과 이동, 연골·뼈 파괴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지바이오로직스가 개발한 재조합 안정화 단백질 ‘갈렉틴-9’을 활용해 MIF와 수용체 경로를 차단했다. 그 결과 활막세포의 증식과 이동이 억제됐고, 동물 모델에서도 관절염 증상 완화와 관절 손상 억제 효과가 확인됐다. 이는 기존 약물이 주로 면역세포와 염증 신호 억제에 집중한 것과 달리, 활막세포 자체를 직접 제어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유승아 교수는 “류마티스관절염의 근본 원인 세포를 직접 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향후 임상 연구로 발전시켜 환자 치료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완욱 교수도 “환자 치료 전략에 새로운 접근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임상적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42.83 ▲101.24
코스닥 902.70 ▲19.62
코스피200 565.69 ▲15.6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951,000 ▲38,000
비트코인캐시 823,000 ▼2,500
이더리움 6,202,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700 ▲20
리플 3,953 ▲5
퀀텀 3,02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0,024,000 ▼90,000
이더리움 6,207,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90 ▼10
메탈 749 ▼1
리스크 326 ▼1
리플 3,952 ▲2
에이다 1,002 ▼2
스팀 13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91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822,500 ▼4,000
이더리움 6,195,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690 ▼50
리플 3,953 ▲3
퀀텀 2,989 0
이오타 22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