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전립선암이 국내 남성암 가운데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학교병원은 20일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전립선암 발생자 수가 2017년 대비 약 58% 늘어 전체 암 중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립선암은 간단한 혈액검사(PSA·전립선특이항원)로 조기 선별이 가능한 암이다. 특히 50세 이상에서 발병률이 높아 정기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경희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정우 교수는 “전립선암은 조기 발견 시 완치가 가능하지만,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발견이 늦는 경우가 많다”며 “건강검진 중 PSA 수치 상승이나 배뇨 장애로 병원을 찾았다가 진단되는 사례가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PSA의 정상 기준치는 3ng/mL 미만이다. 이보다 높을 경우 MRI 등 정밀검사를 시행하며, 필요 시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한다. 단, PSA 수치 상승이 모두 전립선암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전립선염이나 전립선비대증 등에서도 상승할 수 있다.
이 교수는 “PSA 수치가 정상보다 높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환자의 90% 이상이 60세 이상이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45세부터 검사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암이 전립선에 국한된 경우 대표적인 치료법은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이다. 전립선과 정낭을 제거한 뒤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는 수술로, 최근에는 로봇수술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이 교수는 “로봇수술은 고해상도 영상과 정밀한 로봇 팔로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며 “비용이 다소 높더라도 환자 만족도가 높아 수요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립선암은 방사선 치료 효과가 높은 암종으로, 국소 병변이나 주변 림프절 침범 시에도 호르몬 치료와 병행한 근치적 치료가 가능하다.
경희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영경 교수는 “최근에는 세기조절 방사선치료(IMRT)나 영상유도 방사선치료(IGRT)를 통해 치료 부위에 고선량을 집중하면서도 정상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있다”며 “특히 표면유도 방사선치료(SGRT)는 피부 표식 없이 환자의 미세 움직임을 실시간 추적해 치료 정확도를 높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