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0.31 (금)

더파워

한미약품, 3분기 누적 매출 1조1146억원…신약·수출 동력으로 실적 견인

메뉴

산업

한미약품, 3분기 누적 매출 1조1146억원…신약·수출 동력으로 실적 견인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0-31 14:12

한미약품, 3분기 누적 매출 1조1146억원…신약·수출 동력으로 실적 견인
[더파워 유연수 기자] 한미약품이 3분기 만에 누적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이뤘다. 한미약품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623억원, 영업이익 551억원, 순이익 454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은 8.0%, 순이익은 29.9% 증가했다.

한미약품의 올해 누적 매출은 1조1146억원으로, 안정적인 전문경영인 체제 아래 제품, 신약, R&D, 수출 등 전 부문에서 시너지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회사는 3분기 매출의 17.2%에 해당하는 623억원을 R&D에 투자하며 미래 성장 기반 확보에도 적극 나섰다.

주력 제품군의 견고한 성장과 기술이전 수익이 실적을 이끌었다. 개량·복합신약 중심의 제품군이 꾸준히 성장했으며, 길리어드사이언스(Gilead Sciences)와 체결한 ‘엔서퀴다’ 기술이전 계약에 따른 선급금 수취도 수익성 확대에 기여했다.

3분기 원외처방 매출(UBIST 급여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2565억원으로, 2018년 이후 8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가 유력시된다. 주요 제품으로는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589억원, +10.1%), 고혈압 치료제 ‘아모잘탄패밀리’(370억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에소메졸패밀리’(157억원), 당뇨병 치료제 ‘다파론패밀리’(전년 대비 +58.7%) 등이 있다.

한미약품은 세계 최초 저용량 3제 항고혈압제 ‘아모프렐’, 골다공증 치료제 ‘오보덴스’, 인플루엔자 치료 주사제 ‘한미페라미비르주’ 등 신제품을 출시하며 성장 동력을 다변화했다. 회사는 순환기·비뇨기·골대사 등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복합제 전략을 강화해 브랜드 파워를 확대하고 있다.

R&D 부문에서는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통해 비만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표 파이프라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 중간 결과가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보이며 상용화 기대를 높였고, 차세대 비만 치료제 HM15275(삼중작용제)와 HM17321(신개념 펩타이드 기반 치료제)의 상용화 시점을 각각 2030년과 2031년으로 설정해 임상을 진행 중이다.

항암 분야에서도 글로벌 학회에서 표적 단백질 분해(TPD), mRNA,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항체-약물 접합체(ADC), 단일도메인항체(sdAb) 등 차세대 기술 연구 성과를 공개하며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은 매출 941억원, 영업이익 236억원, 순이익 212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1.6%, 영업이익 57.6% 증가했다. 어린이용 정장제 ‘마미아이’, 성인용 ‘매창안’ 등 소화기 제품군이 성장을 이끌었다.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이사는 “3분기는 독자 기술로 개발한 혁신 제품의 성장과 글로벌 임상 진전이 어우러진 의미 있는 시기였다”며 “앞으로도 한미의 브랜드 경쟁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고, 신약 파이프라인의 미래 가치를 높여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말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107.50 ▲20.61
코스닥 900.42 ▲9.56
코스피200 579.46 ▲4.2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380,000 ▼569,000
비트코인캐시 829,500 ▲1,000
이더리움 5,757,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3,370 0
리플 3,739 ▲13
퀀텀 2,730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467,000 ▼251,000
이더리움 5,755,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3,370 ▲40
메탈 667 ▼1
리스크 299 0
리플 3,737 ▲13
에이다 915 ▼4
스팀 12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300,000 ▼640,000
비트코인캐시 829,000 ▲1,500
이더리움 5,75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410 ▲10
리플 3,735 ▲12
퀀텀 2,742 ▲4
이오타 2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