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03 (월)

더파워

분당서울대병원 임수 교수, SGLT2 억제제 종설 논문 ‘네이처 리뷰’ 게재

메뉴

산업

분당서울대병원 임수 교수, SGLT2 억제제 종설 논문 ‘네이처 리뷰’ 게재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1-03 09:52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 레스터대학 멜라니 데이비스 교수(왼쪽부터)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 레스터대학 멜라니 데이비스 교수(왼쪽부터)
[더파워 유연수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 연구팀은 3일 SGLT2 억제제에 대한 종설 논문이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리뷰 엔도크리놀로지(Nature Reviews Endocrinology, IF 40.4)’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지난 10여 년간 발표된 주요 임상시험과 연구를 종합·분석해, SGLT2(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억제제가 단순한 혈당 조절제를 넘어 심부전·신부전 등 당뇨병 주요 합병증을 개선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핵심 대사 치료제임을 입증했다.

임 교수는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제1저자), 영국 레스터대학 멜라니 데이비스 교수(공동 교신저자)와 공동으로 논문을 집필했다.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네이처 리뷰에 한국인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은 해당 분야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SGLT2 억제제는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해 소변으로 배출함으로써 혈당을 낮추는 기전으로 개발된 2형 당뇨병 치료제다. 최근 대규모 임상연구에서는 심부전 환자의 입원율과 심혈관 사망률을 줄이고, 만성콩팥병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입증되며 치료 범위가 확대됐다.

연구팀은 SGLT2 억제제가 단순한 혈당강하제에서 심혈관·신장·대사 기능을 동시에 개선하는 치료제로 발전했음을 강조했다. 이 약물은 포도당과 염분의 재흡수를 억제해 ▲혈당 및 요산 감소 ▲혈압 저하 ▲혈장량 감소 ▲사구체 피드백 강화 등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기전으로 심장과 신장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팀은 SGLT2 억제제의 긍정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뇌혈관질환·인지기능·통풍 등 다른 영역에서는 아직 임상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임수 교수는 “이번 종설 논문은 지난 10년간 축적된 임상 근거를 집대성한 것으로, SGLT2 억제제가 당뇨병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핵심 치료제임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용호 교수는 “SGLT2 억제제는 인슐린 저항성과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개선하고 항염증 효과를 통해 지방간 위험을 낮추는 등 심혈관·신장·대사 영역을 아우르는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의 중심 약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221.87 ▲114.37
코스닥 914.55 ▲14.13
코스피200 599.03 ▲19.57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50,000 ▲580,000
비트코인캐시 785,500 ▼2,000
이더리움 5,575,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3,040 ▲100
리플 3,606 ▲13
퀀텀 2,685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02,000 ▲578,000
이더리움 5,57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3,010 ▲90
메탈 642 ▲3
리스크 291 ▲1
리플 3,606 ▲11
에이다 863 ▲10
스팀 11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80,000 ▲580,000
비트코인캐시 783,500 ▼4,000
이더리움 5,57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3,000 ▲110
리플 3,604 ▲8
퀀텀 2,680 0
이오타 19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