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13:32
[더파워 부·울·경 취재본부 이강원 기자]부산이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며 에너지신산업의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한다.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과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전력 효율화와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한다.부산시(시장 박형준)는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지정은 전국 11개 지자체 중 최초이며, 에코델타시티·명지지구·강서권 6개 산업단지 등 49.9㎢ 규모가 포함됐다.이번 사업을 통해 부산은 에너지 저장과 공급의 균형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을 구축2025.11.05 13:02
[더파워 부·울·경 취재본부 이강원 기자]AI 기반 배터리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피엠그로우는 '한국형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 플랫폼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27년 예정된 EU 배터리 규제(EU Battery Regulation) 시행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형 DPP 플랫폼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부산시 관계기관를 비롯한 공공기관과 운수회사, 배터리 및 전기차 관련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였다.EU 규제 대응 위한 데이터 생태계 구축 논의EU는 2027년부터 모든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에 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이 제도는 배터리의 원2025.11.05 13:02
[더파워 부·울·경 취재본부 이강원 기자] 부산시교육청은 오는 6~21일까지 희망 유치원 교사 100여 명을 대상으로 2학기 '다함께 수업 나눔'을 운영한다고 5일 밝혔다.2학기 '다함께 수업 나눔'은 1학기 사례 중심 운영과 달리, 교사들이 직접 수업을 공개하고 참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수업 나눔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여러 여건으로 인해 한동안 중단되었던 유치원 수업 공개가 다시 활성화되는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수업 참관 후에는 '수업 토크'를 통해 동료 교사들과 의견을 나누고, 우수 사례를 공유하는 데 집중한다. 이를 통해 교원의 교수·학습 역량이 강화되고, 협력적 배움의 장이 더욱 풍성해질 것으로2025.11.05 10:14
[더파워 부·울·경 취재본부 이강원 기자]부산시는 13일간 이어진 스포츠의 대장정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5일 오후 폐회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제106회 전국체육대회(10월17일~23일)와 제45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10월31일~11월5일)가 잇달아 개최되며, 부산 전역은 선수와 시민이 하나 되는 거대한 축제의 장으로 변했다.◇ 52년 만의 ‘종합 2위’… 부산 체육의 저력 입증올해 전국체전은 부산 선수단의 역대급 성과로 기록됐다. 52년 만의 종합 2위 탈환은 ‘스포츠 도시 부산’의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시킨 결과다. 선수들의 열정, 지도자들의 헌신, 그리고 시민들의 응원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값진 성취였다.특히 개최지로써의 조직력과2025.11.05 09:33
[더파워 부·울·경 취재본부 이강원 기자]부산시는 4일 경상남도청 대회의실에서 경상남도, 울산시와 함께 국민의힘 중앙당과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지역의 주요 현안과 내년도 국비 확보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국민의힘 장동혁 당대표, 송언석 원내대표를 비롯해 부울경 지역 국회의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박형준 시장은 모두 발언에서 “부울경은 수도권 일극체제를 해소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이끌 새로운 성장축”이라며 “가덕도신공항의 조속한 재입찰과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제정, 한국산업은행 이전은 부산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현안”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가덕|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04.42 | ▼117.32 |
| 코스닥 | 901.88 | ▼24.69 |
| 코스피200 | 565.40 | ▼16.54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712,000 | ▼128,000 |
| 비트코인캐시 | 721,000 | ▼4,000 |
| 이더리움 | 4,950,000 | ▼23,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390 | ▼260 |
| 리플 | 3,335 | ▼19 |
| 퀀텀 | 2,511 | ▼15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847,000 | ▼144,000 |
| 이더리움 | 4,953,000 | ▼1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440 | ▼150 |
| 메탈 | 588 | ▼3 |
| 리스크 | 265 | 0 |
| 리플 | 3,336 | ▼19 |
| 에이다 | 791 | ▼6 |
| 스팀 | 109 | ▼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770,000 | 0 |
| 비트코인캐시 | 721,500 | ▼7,500 |
| 이더리움 | 4,951,000 | ▼21,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530 | ▼50 |
| 리플 | 3,334 | ▼22 |
| 퀀텀 | 2,516 | ▼41 |
| 이오타 | 19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