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구간별로 보조금 차등 지원...6000만원 미만 차량 전액 보조하는 반면 9000만원 이상은 지원서 제외
8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올해 전기·수소차 구매 지원 예산으로 1조4000억여원을 책정한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올해 전기·수소차 구매 지원 예산을 지난해 보다 약 3분의 1가량 더 많은 1조4000억여원을 책정하기로 했다.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BIG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추진회의에 참석한 홍 부총리는 “전기·수소차 구매지원 예산을 1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32% 확대해 13만6000대까지 지원하겠다”면서 “특히 환경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전기화물차 지원은 1만3000대에서 2만5000대까지 2배 가량 확대하는 등 집중 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번 전기·수소차 지원 확대 방안은 글로벌 자동차시장이 전기·수소차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는 상황을 감안해 이뤄진 조치다.
앞서 작년 7월 EU(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기후 중립적인 유럽을 위한 수소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EU는 택시·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수소연료전지 기반 체제로 구축해 오는 2031년부터 수소연료전지를 경제 전반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중국 베이징도 오는 2025년까지 수소차 1만대를 보급하고 이를 위해 수소충전소도 2023년까지 1000개로 확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날 홍 부총리는 전기·수소차 보조금 지원과 관련해 구체적인 방안도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전기·수소차 보조금 계산시 전비(km/kWh, 단위 전력당 효율성) 비중을 50%에서 60%로 상향하고 차량성능별로 지방보조금도 일률지급에서 차등지급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기·수소차의 가격 인하 및 보급형 모델 육성을 유도하기 위해 가격 구간별 보조금 지원기준을 0~100%까지 차등화하겠다”면서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초소형 전기화물차 보조금을 기존 512만원에서 600만원으로 늘리겠다”고 부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6000만원 미만의 수소·전기차는 보조금을 전액 지원하지만 6000만원에서 9000미만까지 차량에 대해서는 보조금의 50% 수준만 지원할 계획이다. 9000만원 이상인 수소·전기차는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정부는 전기택시에 대한 보조금 단가를 현재 82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까지 확대하고 초소형 전기화물차의 보조금은 512만원에서 최대 6000만원으로 늘릴 방침이다. 이와함께 수소트럭을 대상으로 2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도 시범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