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급등, 거품 판단 어렵지만 작은 충격에도 흔들릴 수 있어… 주가 조정 가능성 유의 ”
[사진제공=한국은행][더파워=박현우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주가 상승 속도가 과거보다 대단히 빠르다”며 “‘빚투’로 투자할 경우 가격 조정에 따라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 총재는 15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뒤 연 인터넷 생중계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증시 상황에 대해 이와 같이 말했다.
이어 “최근 코스피 급등을 버블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주가 동향과 지표를 봤을 때 최근의 상승 속도가 과거보다 대단히 빠르다는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너무 과속하게 되면 작은 충격에도 흔들릴 수 있다”며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의 변화, 예상치 못한 지정학적 리스크의 발생, 코로나19 백신 공급의 차질 등 충격이 발생하면 얼마든지 주가가 조정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빚투(빚내서 투자)’에 대해서는 “과도한 레버리지에 기반을 둔 투자 확대는 가격 조정이 있을 경우 투자자가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의 손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총재는 지난 5일 신년사에서도 “부채 수준이 높고 금융·실물 간 괴리가 커진 상태에서는 자그마한 충격에도 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주가 조정 가능성에 유의하고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며 “다만 어느 정도 자산 가격 조정이 일어나더라도 현재 금융시스템의 전반적인 복원력을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고 했다.
한편 이 총재는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재난지원금의 지급 방식에 대해서는 선별적 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 “개인적인 의견을 얘기한다면 현 상황에서는 선별 지원이 더 적절하다고 본다”며 “한정적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쓸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선별 지원의 이유는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된 어려운 계층에 지원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가 크고 경기 회복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