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원 규모 소부장 반도체 펀드 조성도 합의… 은성수 “산업 생태계 상생 발전 필요”
[사진제공=연합뉴스][더파워=박현우 기자] 산업은행·수출입은행·농협은행이 참여하는 해외 인수·합병(M&A) 투자 공동지원 협의체는 SK하이닉스와 향후 5년간 30억달러(한화 약 3조3000억원)의 글로벌 미래 투자 자금을 대출해주는 협약을 맺었다.
1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해외 M&A 투자 공동지원 협의체와 SK하이닉스는 이날 오후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에서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금융 협력프로그램 협약식’을 개최했다.
공동지원협의체는 대한상의·중견기업연합회·중기중앙회 등 산업계와 금융권 간 해외 M&A·투자자금 조달 등을 위한 협력 강화를 위해 지난 2019년 9월 출범했다.
또 양측은 반도체 산업생태계의 상생과 발전을 위해 1000억 규모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반도체 펀드’ 조성에도 합의했다. 소부장 반도체 펀드에 SK하이닉스가 300억원, 산은과 수은이 각각 100억원을 출연하기로 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이날 협약식에 참석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투자는 지속돼야 한다”며 “산업 생태계가 함께 가는 상생 발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도 변화하는 기업자금 수요에 맞춰 새로운 역할을 찾아가야 한다”며 “금융권은 부동산 담보 등 손쉬운 대출에 의존하는 관행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4조원 규모의 뉴딜펀드 조성 및 뉴딜분야에 대한 18조원의 정책자금 투입, 유동자금의 생산적 분야 유도,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발굴 등 민간의 모험투자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도 내놨다.
그는 “부동산 등 비생산적 부문으로의 자금 쏠림을 차단하고 우리경제의 신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자금을 집중 공급하겠다”며 “시중 유동자금이 생산적 분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