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박현우 기자] 국내 기업 중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대응이 우수한 기업으로 SK, LG화학, 삼성전자, KB금융 등이 꼽혔다. 해외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애플, 파타고니아 등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5일 15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해외 ESG 우수기업은 IT·테크기업의 비중이 높은 반면 국내기업의 경우 철강·정유를 비롯해 제조업, 금융업 등 다양한 산업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ESG 우수기업으로 SK, LG화학, 삼성전자, 삼성SDI, KB금융그룹, CJ그룹, 유한양행, 네이버, 포스코, 아모레퍼시픽 등이 이름을 올렸으며 해외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애플, 파타고니아, 엔비디아, 스타벅스 등이 우수기업으로 조사됐다.
또 ESG 중 환경이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60%로 가장 많았고, 사회와 지배구조가 중요하다는 의견은 각각 26.7%와 13.3%였다.
평가지표와 관련해서는 기후변화·탄소배출(26.7%)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은 데 이어 지배구조(17.8%), 인적자원관리(13.3%), 기업행동(11.1%), 청정기술·재생에너지(11.1%) 순으로 응답했다.
현재 국내기업의 ESG 대응수준은 선진국 10점을 기준으로 대기업이 7점인 반면, 중소기업은 4점에 불과해 중소기업의 ESG 대응 여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ESG 확산으로 투자유치와 수출에 가장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으로 석유제품이 28.9%로 가장 많았고 석유화학(26.7%)과 철강(26.7%)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전망이 가장 밝은 산업에 대해서는 반도체(28.9%)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2차전지(26.7%), 자동차(11.1%), 바이오(11.1%)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기업이 글로벌 ESG 확산 추세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개선과제로는 ‘평가기준 일관성 확보 및 투명한 평가체계수립’(40%)을 가장 많이 답했다. 이 외에도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33.3%), ‘글로벌 스탠다드에 준하는 한국형 ESG 평가지표 개발’(26.7%)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경영환경이 불확실해지며 기업의 재무적 성과 외에도 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의 비재무적 성과에도 시장은 크게 반응하며 글로벌 ESG 기조가 확산되고 있다”며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그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환경의 중요성이 큰 반면 국내에서는 사회와 지배구조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어 국내 기업은 안팎으로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일관되고 투명한 평가체계의 확립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