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본인 SNS를 통해 '청년고용·청년주거·청년자산형성'을 통해 청년 문제 해결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성년의 날을 맞아 “청년고용·청년주거·청년자산형성”이라는 3가지 경제적 측면에서 청년 문제 해결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홍 부총리는 본인 SNS를 통해 “과거처럼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식의 개인 노력보다는 청년들의 취업(입직)·결혼·주거·생활·문화 등 5대 분야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고민·지원이 정말 필요한 때”라며 “이를 직접 도와주는 방식의 청년희망사다리 보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먼저 그는 청년 고용 측면에서는 “국민취업지원제도, 각종 청년고용 촉진 장려금 등을 통한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 도전 K-스타트업‧청년창업사관학교 등을 통한 청년창업 활성화 등을 통해 청년들이 취업·창업전쟁터를 슬기롭게 헤쳐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고 설명했다.
주거문제에 대해서는 “도심 내 청년특화주택, 대학생 기숙사 등 청년주택 27만3000호를 공급해 청년 전월세 임차가구 226만가구의 10% 이상이 질 좋은 청년주택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부모와 떨어져 사는 청년들에 대한 주거급여 분리지급, 청년전용 저리 대출상품 운용,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등을 통한 주거비 부담도 완화하겠다”고 전했다.
홍 부총리는 청년층의 자산형성 기회를 최대한 확대하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그는 “취약 청년층을 위한 희망키움통장‧청년저축계좌, 중소기업에 취업재직 중인 청년층의 목돈마련 지원 등을 통해 사회출발자산 형성의 디딤돌이 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앞서 말씀드린 정부의 (청년층)지원 방안은 내달 발표 예정인 하반기 경제정책방향과 7월 마련 예정인 ‘2021년 세제개편안’, 9월 국회 제출 계획인 2022년 예산안 등에 충실하게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