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2분기 경제성장률 0.8%...연간 4% 성장 ‘파란불’

메뉴

경제

2분기 경제성장률 0.8%...연간 4% 성장 ‘파란불’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1-09-02 11:40

민간소비 3.6% 늘며 12년만에 최고치...수출 -2%
한은 "3,4분기 0.6%씩 성장하면 올해 4% 가능"

[자료제공=한국은행]
[자료제공=한국은행]
[더파워=유연수 기자] 올 2분기(4∼6월) 한국 경제가 강한 민간소비 회복세에 힘입어 0.8% 성장했다. 경제성장률은 작년 3분기부터 4분기 연속 오름세다.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0.6%대 성장을 하면 올해 연간 4.0% 성장률 달성이 가능하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이다.

한은은 지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전분기 대비)이 0.8%로 집계됐다고 2일 발표했다. 지난 7월 27일 공개된 속보치(0.7%)보다 0.1%포인트 상향됐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작년 1분기(-1.3%)와 2분기(-3.2%)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2%), 4분기(1.1%), 올해 1분기(1.7%), 2분기(0.8%)까지 4개 분기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 성장이 두드러졌다.

민간소비는 준내구재(의류 등)와 서비스(오락문화, 음식숙박 등) 소비가 늘면서 3.6% 증가했다. 이 분기 성장률은 속보치(3.5%)보다도 0.1%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2009년 2분기(3.6%) 이후 12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신승철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민간소비 증가와 관련해 "2분기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그동안 코로나 확산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은 음식점, 문화·오락 등 대면 서비스 부문 소비가 증가세로 반전한 영향"이라며 "그동안 억눌렸던 펜트업 소비(지연소비·보복소비)도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분기 민간소비 절대 규모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4분기의 98% 수준으로, 아직 코로나19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이라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2분기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3.9% 늘었고, 설비투자 역시 운송장비 위주로 1.1% 성장했다. 정부소비 증가율은 속보치와 같았지만, 설비투자의 경우 속보치(0.6%)에서 0.5%포인트나 뛰었다.

반면 우리 경제를 이끄는 수출은 자동차, LCD(액정표시장치) 등을 중심으로 2.0% 감소했다. 수출은 작년 3분기(16.3%), 4분기(5.3%)와 올해 1분기(2.0%)를 거치면서 기저효과 등이 사라져 증가율이 떨어지더니 결국 2분기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다만 수입의 경우 1차금속, 화학 제품 등이 늘면서 증가율(2.8%)이 1분기(2.9%)와 비슷했다.

2분기 성장률의 민간소비 기여도는 1.6%포인트인 반면 순수출(수출-수입)은 -1.7%포인트로 분석됐다. 민간소비가 2분기 성장률을 1.6%포인트 끌어올렸지만, 순수출은 성장률을 1.7%포인트 깎아내렸다는 의미다. 정부 지출은 성장률을 0.7%포인트다.

업종별 성장률은 ▲서비스업 2.1% ▲건설업 -1.3% ▲제조업 -1.3% ▲농림어업 -12.7% ▲ 전기가스수도업 -4.1% 등이었다.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직전분기보다 2.4% 늘었다. 배당 수입을 중심으로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3개월 사이 7조원에서 9조5000억원으로 증가하며 명목 GNI 증가율이 명목 GDP 성장률(1.9%)을 웃돌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질 국민총소득(GNI)도 0.1% 늘었다.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6조3000억원에서 8조8000억원으로 불었지만,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무역손실이 5조1000억원에서 10조9000억원으로 커지면서 실질 GDP 성장률(0.8%)을 밑돌았다.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같은 기간(2020년 2분기)보다 1.6% 상승했다. 2020년 2분기 이후 다섯 분기 연속 증가 추세다. 특히 소비자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내수 디플레이터가 2.8%나 올랐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수출입 등까지 포함한 전반적 물가 수준이 반영된 거시경제지표다.

한은은 3분기 경제성장률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신 부장은 "7월 산업활동동향이나 카드사용액, 7∼8월 통관수출, 소비자·생산자 체감경기 지표 등을 보면 3분기 코로나 재확산과 거리두기의 부정적 영향은 음식점, 문화·오락 서비스업 부문에 집중되고 있다"며 "하지만 부정적 영향의 폭은 과거 확산기보다 상당히 적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 "허가면적, 수주액, 자본재수입 등 관련 통계를 보면 하반기 건설투자가 개선되고 IT 중심의 설비투자도 증가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7∼8월 높은 증가율과 주력상품의 양호한 실적으로 미뤄 3분기 수출도 좋은 흐름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49,000 ▲249,000
비트코인캐시 671,000 ▼1,000
이더리움 4,174,000 ▲42,000
이더리움클래식 25,010 ▲100
리플 3,991 ▲13
퀀텀 3,097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541,000 ▲231,000
이더리움 4,173,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5,060 ▲130
메탈 1,058 0
리스크 601 ▲3
리플 3,994 ▲14
에이다 1,001 ▼5
스팀 19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80,000 ▲260,000
비트코인캐시 670,000 ▼2,500
이더리움 4,175,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25,060 ▲90
리플 3,992 ▲16
퀀텀 3,090 ▲60
이오타 29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