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좌측)이 오는 10월 중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박현우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가파르게 증가한 가계부채를 억제하는데 집중하기로 했다.
3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한 홍 부총리는 “코로나 대응 과정에서 확대된 유동성 등으로 빠르게 증가한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공통인식 하에 그 관리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무엇보다도 가계부채 증가세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출이 꼭 필요한 수요자들의 경우 상환능력 범위 내에서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폭넓게 모색하겠다”면서 “추가적 점검·논의를 거쳐 보완 후 (가계부채)관리방안을 10월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경기회복을 저해할 수 있는 대내외 리스크도 점검하고 이같은 요인들이 불거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도 이날 논의하기로 했다.
그는 “글로벌 공급병목 해소의 지연 가능성은 물론 최근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 및 테이퍼링 경계감 등에 따라 국내외 금리가 상승하고 주식·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 등 앞으로 이러한 대외리스크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 못한다”면서 “우리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할 수 있는 ‘회색코뿔소’와 같은 위험요인들은 확실하고 선제적으로 제거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울러 대내적으로도 불균등 회복에 따른 격차확대, 취약계층 및 한계기업 기초체력 약화, 부동산·가계부채 등 유동성 확대에 따른 문제가 경제회복 과정을 불안정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이날 회의에는 홍 부총리를 비롯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고승범 금융위원장,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가계부채 대응 방향을 포함해 최근 경제·금융 상황에 대한 점검 및 향후 대응 방안, 주요 대내외 리스크 요인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