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6 (수)

더파워

[2021 국감] 농협 장애인 고용 외면? 5년간 미이행 부담금 176억 달해

메뉴

경제

[2021 국감] 농협 장애인 고용 외면? 5년간 미이행 부담금 176억 달해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1-10-15 14:14

이만희 의원 “농협 금융지주 계열사, 장애인 고용 거리두기하며 사회적 책임 방기”

농협중앙회 중구 본사 전경. [사진제공=농협금융지주]
농협중앙회 중구 본사 전경. [사진제공=농협금융지주]
[더파워=유연수 기자] 농협은행을 비롯한 농협의 주요 금융 계열사들이 장애인 의무고용 실적을 갖추지 못해 최근 5년간 납부한 고용분담금이 176억원에 이르며, 이중 농협은행이 가장 많은 122억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경북 영천·청도)이 농협중앙회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협중앙회를 비롯한 농협의 주요 경제 및 금융 계열사들이 최근 5년간 단 한해도 빠짐 없이 장애인 의무고용을 이행하지 않은 것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2020년 기준 장애인 의무고용율은 국가 및 공공기관은 3.4%, 민간기업은 3.1%이지만 . 농협중앙회의 고용율은 지난 2019년 2.8%에서 2020년 2.7%로 낮아졌으며, 올해는 그보다 더욱 하락한 2.53%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농협금융지주도 마찬가지 인데 지난 2019년 4.23%에서 2020년 2.0%를 그리고 올해는 1.85%의 고용율을 보였다.

특히 농협 계열사 중 연봉이 가장 높고 근무여건이 좋아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농협은행을 비롯한 금융지주 계열사(NH농협은행, NH투자증권, 농협생명, NH손해보험)에서 유독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를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기준 농협은행의 경우 고용율은 1.85%로 지난 5년간 122억원의 미이행부담금을 납부했고 NH투자증권 1.98%, NH농협생명 1.08%, NH손해보험은 1.21% 수준에 그쳤다. 지난 5년간 주요 금융 계열사들의 미이행 분담을 살펴보면 농협은행이 122억원, 투자증권이 29억원, 14억원, 손해보험이 8억8000만원 순이었다.

무엇보다 농협중앙회를 비롯해 경제 및 금융지주 주요 계열사 중 단 1곳도 장애인 고용율을 지키는 곳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기준으로 농협은행의 매출액은 13조9000억원, 투자증권은 12조7000억원, 농협생명도 9600억원에 이르는 등 매년 큰폭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농협의 장애인 고용율 의무 위반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잘못된 관행을 이어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만희 의원은 “장애인 의무고용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평가하는 주요한 기준점”이라며 “농협이 진정한 국민 기업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정책적 배려가 반드시 필요하며, 분담금이 아닌 좋은 일자리로서 더 많은 장애인과 함께 일하는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서 줄 것”을 당부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09,000 ▲268,000
비트코인캐시 672,500 ▼1,000
이더리움 4,204,000 0
이더리움클래식 25,400 ▼170
리플 3,973 ▼18
퀀텀 3,123 ▼2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94,000 ▲445,000
이더리움 4,202,000 0
이더리움클래식 25,400 ▼160
메탈 1,078 ▼6
리스크 607 ▼0
리플 3,972 ▼15
에이다 1,003 ▼7
스팀 198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40,000 ▲350,000
비트코인캐시 672,500 0
이더리움 4,206,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5,530 ▼160
리플 3,973 ▼13
퀀텀 3,136 0
이오타 3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