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6 (수)

더파워

[2021 국감] 은행권, 현금배당 늘리면서 사회공헌은 제자리걸음...영업익의 6% 수준

메뉴

경제

[2021 국감] 은행권, 현금배당 늘리면서 사회공헌은 제자리걸음...영업익의 6% 수준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1-10-17 11:57

최근 4년간 현금배당금 총 21.6조...영업익 3분의1 수준까지 증가
윤관석 의원 “사회적책임·ESG경영 강화 위해 사회공헌 확대 필요"

17개 국내 은행들의 최근 4년간 영업이익 및 현금배당, 사회공헌 규모. [자료제공=윤관석 의원실]
17개 국내 은행들의 최근 4년간 영업이익 및 현금배당, 사회공헌 규모. [자료제공=윤관석 의원실]
[더파워=유연수 기자] 국내 은행들이 현금배당을 영업이익의 30%대로 꾸준히 올리고 있지만 사회공헌은 5∼6%대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인천남동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은행별 사회공헌금액 및 영업이익 현금배당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내 17개 은행의 현금배당 비율은 꾸준히 높아져 영업익의 3분의1 수준까지 높아진 반면, 사회공헌 금액은 5~6%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다.

17개 은행사들의 최근 4년간 현금배당금 총액은 21조6887억원이었고 연도별 영업이익 대비 현금배당 비율은 2017년 4조43억원(26.66%) 2018년 5조4795억원(29.10%) 2019년 6조5394억원(32.96%) 2020년 5조6655억원(33.38%)이었다.

지난해 현금배당을 가장 많이 한 곳은 국민은행(1조5164억원)으로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조 단위를 넘어섰다.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상장 전이어서 현금배당이 없었다.

최근 4년간 17개 은행사의 사회공헌금액 총합은 3조9350억원으로 연도별 영업이익 대비 사회공헌 금액은 2017년 7357억원(4.9%) 2018년 9839억원(5.22%) 2019년 1조1289억원(5.69%) 2020년 1조865억원(6.4%)이었다.

사회공헌 상위 3개은행은 ▲국민은행(6589억) ▲신한은행(5954억) ▲농협은행(5811억) 순이고 하위 3개은행은 ▲케이뱅크(1.5억) ▲카카오뱅크(4.5억) ▲제주(75억) 순으로 사회공헌 참여가 낮았다.

17개 은행사의 2017년 대비 2020년 현금배당률은 26.66%에서 33.38%로 총 6.72%포인트 늘어났지만 사회공헌금액 비율은 동기간 4.5%에서 6.4%로 1.5%포인트 더 늘어나는데 그쳐, 은행권 사회공헌은 제자리 수준인 반면 현금배당은 더 많이 늘어난 특징을 보였다. 은행사들이 호실적을 바탕으로 현금배당은 확대했음에도 사회공헌 사업에는 현상유지 수준에 그쳤던 것으로 보인다.

윤관석 의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사회공헌에 관한 투자도 중요한 지속성장 지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면서 “국민들이 시중은행의 이익을 창출해주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만큼 은행사들이 금융의 사회적 책임정신 아래 사회공헌활동을 선도해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08,000 ▲296,000
비트코인캐시 673,500 0
이더리움 4,204,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5,400 ▼170
리플 3,974 ▼16
퀀텀 3,123 ▼2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46,000 ▲396,000
이더리움 4,204,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5,420 ▼140
메탈 1,078 ▼6
리스크 608 ▼1
리플 3,973 ▼12
에이다 1,004 ▼7
스팀 198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90,000 ▲200,000
비트코인캐시 672,500 0
이더리움 4,206,000 0
이더리움클래식 25,530 ▼160
리플 3,973 ▼13
퀀텀 3,136 0
이오타 3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