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 서민용 보금자리 대출 기준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 67.1%에서 15.4%로 급감
문재인 정부 5년 차인 올해 서울 지역 아파트 중 약 절반이 9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가 차지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사진제공=연합뉴스][더파워=김시연 기자] 문재인 정부 5년차인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중 절반 가량이 9억원을 뛰어넘는 ‘고가 아파트’가 차지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의 ‘서울아파트 매매시세 현황(2017년 6월~2021년 6월)’을 분석한 결과 서울 지역 9억원 초과 아파트 비율은 지난 2017년 6월 15.7%에서 올해 6월 56.8까지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시세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의 경우 같은 기간 3.9%에서 22.4%로 약 5배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6월 기준 15억원 초과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강남구(81.0%)였으며 이어 송파구(59.9%), 용산구(54.3%) 순이었다.
이에 반해 무주택 서민용 보금자리 대출 기준인 6억원 이하 아파트의 비율은 이 기간 동안 67.1%에서 15.4%로 급감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6월에는 서울 전체 25개 자치구 중 9억원 초과 아파트 비율이 10% 미만인 곳은 17곳을 차지했고 이중 강동구·강북구·강서구·관악구·구로구·노원구·도봉구·은평구 등의 경우 9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 비율은 1% 내외에 그쳤다.
하지만 5년여가 흐른 올해 6월 기준 이들 중 9억원 초과 아파트 비율이 10% 미만인 곳은 중랑구 단 한 곳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 이전 불과 5년여 전만 해도 서울에서는 서민대출을 받으면 내집 마련이 가능했다”면서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정으로 주거사다리가 망가져 ‘고가주택으로 뒤덮힌 서울’은 두고두고 국민의 삶을 고달프게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