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의원 "올해 6월 기준 서울 중소형 아파트 평균가 7억3578만원...서민주택대출도 어려워"
문재인 정부 5년간 서울 지역 중소형 아파트의 평균 가격이 7억원대를 넘어섰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서울에서 신혼부부·사회초년생이 주로 거주하는 중소형 아파트 매매가격이 문재인 정부 출범 5년차인 올해 6월 기준 7억원대를 넘어섰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의 ‘2017년 6월~2021년 6월간 서울아파트 평형별 매매시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용면적 40~62.8㎡의 중소형 아파트 평균시세는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인 2017년 6월에는 3억7758만원을 기록했으나 임기말인 올해 6월 현재 7억3,578만원으로 1.9배(3억5820만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용면적 기준으로 40㎡ 미만은 소형 아파트, 40~62.8㎡ 미만은 중소형, 62.8~95.9㎡ 미만 중형, 95.9~135.0㎡미만 중대형, 135.0㎡이상은 중대형 아파트로 각각 분류된다.
김 의원에 따르면 서울 지역 중소형 아파트는 주로 방 1~2개로 구성됐고 연식이 오래된 반면, 적합한 시세로 청년 및 사회초년생, 신혼부부의 수요가 꾸준한 곳이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5년여가 지난 현재 서울 지역 중소형 아파트 가격이 7억원대를 넘어서면서 서민주택대출(보금자리론 : 실거래가 6억원 이하 한도) 조차 못 받게 된 상황이라는게 김 의원 측 설명이다.
자료에 의하면 특히 서울 성동구의 경우 2017년 6월~2021년 6월 사이 중소형 평균시세가 4억7835만원에서 무려 10억7173만원으로 2배 이상 급등했다.
같은 기간 마포구는 4억5922만원에서 8억9520만원으로 9억원대까지 올라섰고 5년 전 3억6941만원이었던 강동구 역시 2배 오른 7억5234만원을 기록했다.
과거 중소형 아파트가 2억원대에서 거래됐던 구로구·노원구·중랑구도 현재 모두 5억원대를 넘어선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6월 당시 서울 전체 25개 자치구 중 중소형 아파트 평균시세가 6억원이 넘는 자치구는 강남구 1곳에 불과했다.
그러나 5년여가 지난 현재(올해 6월 기준) 19개 자치구 중소형 아파트 평균시세는 6억원 이상까지 올랐다. 즉 무주택 서민을 위한 보금자리대출을 받아도 서울에서는 13~19평형이 중소형 아파트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간 동안 전용면적이 늘어날수록 시세의 증가폭도 커졌다. 2017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소형(40㎡ 미만)대가 2억6844만원에서 3억787만원으로 상승한 반면 중형(62.8~95.9㎡ 미만)대는 5억1969만원에서 9억5240만원으로, 중대형(95.9~135.0㎡미만)대는 7억3117만원에서 13억3683만원, 대형(135.0㎡ 이상)은 14억6105만원에서 22억362만원으로 증가폭이 훨씬 컸다.
김 의원은 “지난 5년여 동안 서울에서 생애 첫집을 마련하기 위한 가격 부담이 크게 늘어났다”면서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실정이 서민과 실수요자의 주거비용부담으로 돌아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작은 보금자리 조차 수억원대 주택이 된 작금의 현실부터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