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정은보 금감원장 “증권사 현장 밀착감시 강화...리스크 사전발견에 역량 집중”

메뉴

경제

정은보 금감원장 “증권사 현장 밀착감시 강화...리스크 사전발견에 역량 집중”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1-11-23 11:22

금융감독원장·증권사 CEO 간담회서 “증권사 자율적 개선·조처 존중하겠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사진제공=금융감독원]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사진제공=금융감독원]
[더파워=유연수 기자]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증권사 감독 방향에 대해 리스크 취약 부문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현장 밀착형 상시 감시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3일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와 만난 자리에서다.

정 금감원장은 “(증권사에 대한) 현장 밀착형 상시감시 기능을 강화해 리스크 취약 부문을 사전에 발견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법과 원칙에 따라, 사전적 감독과 사후적 감독 간 조화와 균형을 도모하면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사전 예방적 감독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겪으며 건전성·유동성 스트레스테스트의 중요성이 커졌다고 보고 스트레스테스트가 증권회사의 실질적 리스크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관련 기관·시장과 논의해 개선하겠다고 예고했다.

검사에 대해서도 예측성과 수용성을 확보하고, 증권회사의 자율적 개선·조처를 존중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사모펀드 사태로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고 지적한 정 원장은 “개인 투자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증권회사는 '완전 판매' 등 내부통제 강화를 통한 소비자 보호에 각별히 신경 써 달라”고 당부했다.

정 원장은 증권업계가 꾸준히 요구하고 있는 ‘디폴트 옵션’ 도입 등 퇴직연금 시장 제도개선과 연금상품 개발 지원 의사도 밝혔다.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는 가입자가 별도로 적립금 운용 방법을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특정 방법이 적용되도록 일종의 기본값을 정해놓는 제도로, 디폴트옵션 구성에 실적배당형 상품 등을 포함해 퇴직연금 수익률을 올리자는 취지다.

또 탄소배출권과 상장리츠 등 녹색금융과 부동산금융의 자산운용 관련 위험 값을 조정해 개인 투자자가 이런 상품에 투자하는 문턱을 낮추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증권업계에서 나재철 금융투자협회 회장,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 정일문 한국투자증권 대표, 장석훈 삼성증권 대표, 이석기 교보증권 대표, 서병기 IBK투자증권 대표, 고경모 유진투자증권 대표, 기동호 코리아에셋투자증권 대표가 참석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87,000 ▼409,000
비트코인캐시 664,500 0
이더리움 4,056,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580 ▼60
리플 3,960 ▼6
퀀텀 3,027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24,000 ▼470,000
이더리움 4,053,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560 ▼100
메탈 1,043 ▲2
리스크 592 ▼5
리플 3,961 ▼2
에이다 993 ▼9
스팀 19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2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663,500 ▼2,000
이더리움 4,057,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90
리플 3,962 ▼2
퀀텀 3,030 ▼5
이오타 29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