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올 상반기 은행권 기술금융 1위 ‘기업은행·경남은행’

메뉴

경제

올 상반기 은행권 기술금융 1위 ‘기업은행·경남은행’

조성복 기자

기사입력 : 2021-11-28 14:00

금융위, 기술금융 실적평가 결과 발표...2위는 하나은행·부산은행

연도별 은행권 기술금융 실적 결과. [자료제공=금융위원회]
연도별 은행권 기술금융 실적 결과. [자료제공=금융위원회]
[더파워=조성복 기자] 올해 상반기 은행권의 기술금융 실적 평가에서 대형은행으로는 기업은행이, 소형은행으로는 경남은행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고 금융위원회가 28일 밝혔다.

금융위는 기업은행이 지식재산(IP) 담보대출 등을 중심으로 기술 신용대출 공급을 지속 확대했으며, 경남은행은 동산담보대출과 기술기반 투자 등을 중점적으로 공급해 각각 1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평가에서 각 부문 2위는 하나은행과 부산은행에 돌아갔다.

기술금융은 기술력‧미래성장성 높은 중소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상품으로 지난 2014년 처음 도입됐다. 이 상품은 전문평가기관의 객관적 평가를 진행해 기술력, 지식재산권(IP), 동산금융 등에 대해 지원한다.

반도체와 에너지 등 유망기술분야 기업과 함께 상대적으로 담보력과 신용도가 약한 창업기업에 적극적인 자금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대출을 받는 중소기업은 일반 중기대출 평균 대비 금리가 0.14%포인트 인하, 한도가 평균 2억2000만원 늘어나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올해 9월 말 기준 기술금융 대출 잔액은 310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266조9000억원) 대비 40조원 이상 늘며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은행 자체 기술평가 역량을 심사한 결과 가장 높은 단계인 레벨4 수준을 보인 은행은 산업·신한·우리·하나·기업·국민·농협·부산·대구은행 등 총 9곳이었다. 경남은행은 레벨3 수준으로 평가됐다.

기술 평가 역량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체평가에 기반한 기술 신용대출 가능 금액이 증가한다.

은행들이 자체 평가 인프라를 강화하면서 올해 상반기 평가 건수는 1만5953건으로, 전 분기(1만1840건) 대비 약 35%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기술금융을 늦게 추진한 은행을 고려해 내년도부터 새로운 평가지표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으로는 누적 기술금융 잔액 등 지표보다 증가율 지표를 확대하는 등 각 은행의 노력도에 중점을 두고 평가할 예정이다.

표준기술평가모형을 개발해 은행별 기술평가 지표와 기준의 일관성을 강화하는 작업도 진행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기술평가·신용평가 일원화를 통해 기술력이 있으면 ‘신용등급’까지 개선될 수 있는 통합여신모형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30,000 ▼48,000
비트코인캐시 668,000 ▲2,000
이더리움 4,070,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00 ▼60
리플 3,965 ▼17
퀀텀 3,03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00,000 ▼10,000
이더리움 4,068,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00 ▼60
메탈 1,042 ▼5
리스크 594 ▼3
리플 3,965 ▼14
에이다 994 ▼6
스팀 19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0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68,000 ▲2,000
이더리움 4,071,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610 ▼60
리플 3,965 ▼16
퀀텀 3,030 ▼8
이오타 295 0